목재의 방부처리

 


기출문제

  • 2018년 116회 4교시 1번 : 목재의 방부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8년 115회 1교시 3번 : 목재의 방부법
  • 2015년 106회 4교시 1번 : 목재의 부식을 막기위한 방부제의 종류 및 처리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4년 74회 2교시 1번 : 목재의 방부제 종류와 방부처리법을 기술하시오.
  • 2002년 66회 1교시 11번 : 목재의 방부처리


개요

  1. 목재시설별 내구연한에 따른 적절한 방부방법 선택이 중요

 

목재의 최대 결점

  1. 연소(燃燒)
  2. 부식(腐蝕)

 

방부처리 대상

  1. 콘크리트, 벽돌 등 포수성의 재질에 접하는 부분
  2. 외부 버팀기둥을 구성하는 부재의 모든 면
  3. 급·배수 시설에 근접된 부분
  4. 납작마루틀의 멍에 · 장선 등
  5. 나무벽돌

 

방부제의 종류

구분종류특징용도
유성크레오소트유
(Creosote Oil)
갈색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많이 사용
구조재(기둥, 보, 지붕틀)
철도의 침목, 전주, 파일
수용성페놀류, 무기 플루오르화계
목재방부제(PF)
도장 가능하며 독성 있음
색상은 청록색
토대의 부패방지
펜타클로르페놀구리의
암모니아액 목재 방부제
도장가능하며 독성 있음
색상은 무색
방부, 방충처리 목재
크롬, 구리, 비소화합물계
목재방부제(CCA)
도장가능하며 독성 있음
색상은 녹색
주거용, 상업용 건축등에 적용
유용성펜타클로르페놀(PCP)도장가능하며 독성 있음.
자극적인 냄새, 색상은 무색으로
우수하나 고가
방부, 방충 처리 목재
산업용에 적용

 

방부처리법

  1. 주입법
    1. 종류 : 크레오소트유, PCP
    2. 상압주입법 : 방부약액을 가열하여 주입
    3. 가압주입법 : 압력탱크에서 고기압(7~12기압)으로 방부약액을 주입
    4. 생리적주입법 : 뿌리에 방부약액을 주입
  2. 침지법
    1. 방부제 용액중에 담가 공기(산소)를 차단하여 방부처리
    2. 종류 : 크레오소트유
  3. 도포법
    1. 목재를 충분히 건조시킨 후 솔 등으로 약제를 도포 및 뿜칠하여 방부처리
    2. 종류 : 크레오소트유, 콜타르 칠, 아스팔트 방부칠
  4. 표면탄화법
    1. 균에게 양분을 제공하는 목재의 표면을 3~10mm 정도 태워 방부처리

 

방부처리시 주의사항

  1. 방부처리한 목재는 인체 해롭지 않고, 금속재를 녹슬게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2. 직접 우수를 맞는 곳에 쓴 방부처리 목재는 방수성이 있는 것으로 한다.
  3.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방부처리물이 마감표면 위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내화처리 한다.
  4. 목재는 방부처리에 지장이 없는 정도로 건조, 처리된 목재의 함수량은 운반전 18%정도



연관문제

목재의 건조와 함수율 - 목재의 내화공법

 

참고문헌(출처)

  • 표준시방서 KCS 41 33 01 목공사 / 국가건설기준센터
  • 건축기술지침, 건축2 / 대한건축학회
  • 건축시공학 / 강병두 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