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14년 103회 1교시 2번 : 목재의 함수율
- 2010년 90회 1교시 5번 : 목재의 함수율과 흡수율
- 2007년 82회 1교시 7번 : 목재의 함수율
- 2006년 79회 1교시 2번 : 목재건조의 목적 및 방법
- 2006년 78회 1교시 2번 : 수장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
개요
- 목재는 함수율의 증가에 따라 팽창하기도 하고 함수율의 감소와 함께 수축하기도 한다.
- 목재의 수축은 건조에 따른 뒤틀림, 할렬 또는 목재의 가공이나 이용상 장해의 원인이 된다.
건조의 목적
- 목재수축에 의한 손상방지
- 목재강도의 증가
- 못, 나사 부착력의 증가
- 접착성의 개선
- 도장성의 개선
- 전기절연성의 증가
- 열전열성의 개선
- 약제주입의 용이
- 충해방지
- 변색 및 부패방지
건조법
- 대기건조법(자연건조법)
- 대기중에 노출시켜 통풍만으로 건조
- 건조시간 오래 걸림
- 수액제거법(수액건조법)
- 수액을 제거하여 건조를 빠르게 함
- 현지에서 1년 방치 → 강물 6개월 또는 해수 3개월 방치 → 목재를 열탕으로 삶기
- 인공건조법
- 인공적으로 단기간에 건조
- 시설비 및 가공비가 많이 소요
- 종류
-훈연건조 - 전열건조
- 연소가스건조 - 진공건조
- 약품건조
수장재의 함수율
종별 | A종 | B종 | C종 | 비고 |
---|---|---|---|---|
함수율 | 15%이하 | 20%이하 | 24%이하 | 전체 단면에 대한 평균값 |
목재의 함수율
구분 | 구조재 | 수장재 | 마감재 | 마루널 등의 활엽수재 |
---|---|---|---|---|
함수율 | 20%이하 | 15%이하 | 13%이하 | 13%이하 |
함수율이 목재에 미치는 영향
- 섬유포화점(함수율 약 30%) 이하 되면 수축시작
- 축방향(0.35%) < 지름방향(8%) < 촉방향(14%)
- 밀도크고 견고한 수종일 수록 수축량 큼
함수율 산정식
W1 : 건조전의 재료의 중량
W2 : 절대건조시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100~105℃로 건조하여 일정량이 될때의 중량
함수율 측정법
- 전기저항법
- 유전율법
- 유전체 손실에 의한 법
연관문제
목재의 방부처리 - 목재의 내화공법
참고문헌(출처)
- 표준시방서 KCS 41 33 01 목공사 / 국가건설기준센터
- 건축기술지침, 건축2 / 대한건축학회
- 건축시공학 / 강병두 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