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1년 123회 4교시 6번 : 방수공법 종류 및 선정 시 고려사항, 지붕방수 하자원인을 설명하시오.
- 2018년 115회 3교시 3번 : 옥상누수와 지하누수로 구분하여 누수 보수공사 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7년 113회 4교시 3번 : 도심지 지하구조물 공사에서 누수발생 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4년 104회 2교시 6번 : 사무소 신축공사에서 지하층 방수 시 시멘트 액체방수(안 방수)의 시공절차 및 온통기초와 벽체 연결부위의 누수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4년 102회 3교시 5번 : 건축물 평지붕(Flat Roof)의 부위별 방수하자 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2년 96회 3교시 2번 : 방수공사에서 방수공법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9년 87회 2교시 3번 : 건축지하구조물의 방수공사시 재료 선정의 유의사항, 조사대상항목, 기술개발방향을 기술하시오
- 2007년 83회 4교시 4번 : 지하실에서 외방수가 불가능할 경우 채택하는 내방수 또는 다른 방수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6년 80회 2교시 5번 : 공동주택에서 지하 저수조의 방수시공법을 설명하고,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5년 76회 2교시 4번 : 지하구조물 방수공법 선정시 조사해야 할 사항과 방수공법의 요구성능 및 발전방향을 기술하시오.
- 2004년 74회 3교시 3번 : 콘크리트 슬래브 지붕 방수공사의 시공계획을 기술하시오.
- 2002년 68회 4교시 6번 : 공동주택의 다음 부위별 방수공법 선정 및 시공시 유의사항을 기술하시오. 1) 지붕 2) 욕실 및 화장실 3) 지하실
- 2002년 66회 4교시 5번 : 방수공법 선정시 검토사항을 기술하시오.
개요
- 누수로 인한 하자는 구조체의 내구성 저하, 생활의 불편 등을 초래
- 방수공법 선정시 방수 시공 부위별 요구성능에 적합한 공법선정이 무엇보다도 중요
방수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 안전성
- 경제성
- 시공성
- 방수층 요구성능
방수층의 요구성능
- 수밀성능
- 폐임성능
- 내충격성능
- 피로성능
- 조인트 변형성능
- 흘러내림 성능
- 코너부 안정성능
- 내풍압성능
- 부풀어오름 성능
방수공법의 분류
- 재료별 분류
- 시멘트 액체방수
- 아스팔트 방수
- 시트방수
- 도막방수
- 장소(부위)별 분류
- 옥상방수
- 지하방수 : 안방수, 바깥방수
- 실내방수 : 화장실, 발코니방수
지하방수
- 개요
- 지하 수압에 의한 물의 침투를 고려
- 물의 침입경로 찾기 힘들고 보수 어려움
- 안방수, 바깥방수로 구분
- 지하방수 주요 고려사항
- 시공이음과 가시설 관통부위
- 누수 발생시 대책(집수정, 펌핑)
- 지하구조물의 형상과 구조
- 지형, 지반, 지하수(부등침하, 수압)
- 전기, 설비배관 관통부위
- 적용가능 방수공법
- 액체방수
- 규산질계 도포방수
- 고침투성방수
구분 | 안방수 | 바깥방수 |
---|---|---|
사용환경 | 수압이 작고 얕은 지하실 | 수압이 크고 깊은 지하실 |
공사시기 | 자유롭다 | 본 공사에 선행 |
내수압성 | 적다 | 크다 |
경제성 | 저가 | 고가 |
보호누름 | 필요 | 없어도 무방 |
내수압처리 | 수압에 견디게 하기 곤란 | 내수압적으로 한다 |
공사순서 | 간단 | 상당한 절차가 필요 |
바탕만들기 | 따로 만들 필요가 없다 | 따로 만들어야 한다 |
공사용이성 | 간단 | 상당한 난점 |
본공사추진 | 방수공사 관계없이 본 공사 추진 | 방수공사 완료전 본 공사 추진 곤란 |
옥상(지붕) 방수
- 개요
- 옥상은 기상의 변화를 가장 심하게 받는 부분
- 옥상의 용도, 보호층 유무, 배수조건 등에 따른 공법선정 필요
- 옥상방수 주요 고려사항
- 파라펫(Parapet) 주위
- Roof Drain 주위
- Expansion Joint
- 설비배관류의 관통부위
- 물매와 드레인 위치
- 적용가능 방수공법
- 도막방수
- 시트(Sheet) 방수
- 아스팔트 방수
- 복합방수
실내(화장실, 발코니 등) 방수
- 개요
- 인간생활을 윤택하게 하기위해 사용되는 물의 누수방지를 목적
- 옥상과 같이 엄격한 내구성, 내균열성 요구되지 않음
- 시공면적이 적고 몇개소로 분산, 모서리, 관통배관 등이 시공조건 나쁨
- 실내방수 주요 고려사항
- 배관주위
- 물의 사용방법과 수질
- 적용가능 방수공법
- 액체방수
- 탄성도막방수
외벽방수
- 개요
- 외벽에서 누수현상은 중력과 운동 Energy 뿐만 아니라 기압차에 의해 발생
- Sealing 공사 이외 방수공법 적용 않음
- 외벽방수의 주요 고려사항
- 우수의 움직임을 적절히 차단 : 채양, 물끊기 등 설치
- 외벽표면 불투성 방수층 도포
- 벽체 내부 침입한 우수 적절히 배수 : 중공층, 배수시설 등
- Joint 부위 Sealing재 처리
- 사춤모르타르 충진
연관문제
도막방수 - 시트방수 - 아스팔트방수 - 복합방수 - 방수공사의 하자(결함) - 방수층의 요구성능
참고문헌
- 표준시방서 KCS 41 40 01 방수공사일반 / 국가건설기준센터
- 표준시방서 KCS 41 40 13 지하구체 외면방수공사 / 국가건설기준센터
- 건축구조물의 방수공법에 관한 연구 / 이상수
- 건축기술지침 / 대한건축학회
- 건축시공학 / 강병두 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