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크레인(Tower Crane)

 


기출문제

  • 2019년 119회 2교시 1번 : Tower Crane의 주요 구성요소와 재해유형, 재해원인 및 안전대책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2013년 99회 1교시 12번 : 타워크레인 마스트(Mast) 지지방식
  • 2010년 92회 1교시 13번 : 러핑 크레인(Luffing Crane)
  • 2003년 69회 3교시 4번 : 초고층 건축물에서 Tower Crane의 설치 및 해체시 유의사항을 기술하시오.


개요

  1. 타워크레이은 마스트 등을 이용하여 세운 타워 위에 하중을 달수 있는 암(arm)을 얹은 형태의 양중장비를 말한다.
  2. Telescoping이란 타워크레인을 높이기 위해 마스트를 인상하는 작업을 말한다.


타워크레인의 분류

  1. 수평이동 여부
    1. 고정형
    2. 이동형(Rail 형)
  2. Jib 작동방식
    1. T-Tower Crane
    2. Luffig Crane
  3. 수직이동(상승, Climbing) 방식
    1. Mast Climbing Type
    2. Floor Climbing Type
  4. 브레이싱(Bracing) 방식
    1. Wire Bracing type
    2. Wall Bracing Type

 

Jib 작동방식

  1. T-Tower Crane
  2. Luffing Crane : 대지가 협소한 도심지 공사에서 유리

 

상승(Climbing) 방식

  1. Mast Climbing Type : Mast를 추가설치하여 상승
  2. Floor Climbing Type : 초고층공사 시 건축물과 동시 상승

 

브레이싱(Bracing) 방식

  1. Wire guying Type : 건축물에 피해없으나 Wall 브레이싱 보다 불안정
  2. Wall Bracing Type : 와이어 방식 보다 안전, 브레이싱 설치부위 마감공사 지연


설치 · 해체 시 유의사항

  1. 장비진입로, 운반차량의 회차 등 공간을 확보
  2. 해체시 문제점을 파악(Down 용이, 해체장비 작업공간, 운반차량 진입로)
  3. Anchor setting 위치 정확한지 도면 파악
  4. 지내력 충분한지 검토
  5. 주위에 간섭물 확인(고압선 등) 및 대지경계선 밖으로 나가는 것 방지
  6. 크레인간 상호 간섭을 배제
  7. 가능한 넓은 Pick-Up Area 확보
  8. 폭풍 · 폭우 및 폭설 등 악천후 시 작업중지
  9. 설치는 가능한 빨리(신속)


연관문제

타워크레인 설치 및 운영계획

 

참고문헌(출처)

  • 건축기술지침 / (주)대우건설
  • 타워크레인 가설계획 시공지침서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