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0년 121회 1교시 12번 : 베이크아웃(Bake-Out), 플러쉬아웃(Flush-Out) 실시 방법과 기준
- 2015년 106회 4교시 2번 : 내부 도장공사시 실내공기질 향상을 위한 시공 단계별 조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4년 104회 1교시 1번 : Bake Out(새집증후군 해소방안)
- 2012년 98회 1교시 1번 :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저감방법
- 2008년 86회 4교시 4번 : 신축 공동주택의 새집증후군을 설명하고 실내공기질 향상방안을 기술하시오
- 2007년 81회 2교시 4번 : 실내공기질 개선방안에 대하여 다음 각 시점에서의 조치사항을 설명하시오. 1) 시공시 2) 마감공사후 3) 입주전 4) 입주후
- 2006년 78회 3교시 3번 : 금년부터 시행중인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및 유해물질대상의 관리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5년 75회 1교시 11번 : 새집증후군 해소를 위한 베이크 아웃 (Bake Out)
- 2004년 74회 1교시 11번 :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 2004년 72회 3교시 6번 :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실내공기 오염 물질 및 그에 따른 대책을 기술하시오.
개요
- 신축아파트 및 리모델링 직후 실내에서 두통, 어지럼증, 호흡곤란 등 다향한 신체이상의 건강장해를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이라 한다.
- VOCs는 대기중 상온에서 가스형태로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질을 총칭으로 암을 유발하는 등 인체에 악영향을 준다.
유해화학물질의 종류
-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스티렌 등
- 포름알데히드(HCHO) : 자극성 냄새를 갖는 가연성 무색 기체로 살균제나 방부제로 사용
- 기타 : 석면, 가소제 등
유해화가물질 발생 영향인자
- 발생물질조성 : 오염물질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크다
- 함유뮬질의 수증기압 : 수증기압 높을수록 크다
- 표면적 : 재료의 방출표면적 클수록 크다
- 두께 : 재료의 두께에 따라 방출기간 길다
- 함유밀도 : 밀도가 높을수록 크다
- 실의 온도 : 온도가 높을수록 오염물질이 많다
- 흡착성 : 오염울질이 흡착 후 재방출 비율 증가
오염물질 발생원인과 건강에미치는 영향
오염물질 | 주요발생원인 | 건강에 미치는 영향 |
---|---|---|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 | 건축자재, 접착재, 카페트 | 알레르기, 호흡기질환, 암 |
포름아데히드 | 합판, 단열재 | 눈, 피부자극, 두통 등 |
석면 | 단열재, 내화피복재 | 폐암 등 |
일산화탄소 | 연소기구, 흡연 | 저농도에서도 독성이 강함 |
이산화탄소 | 인체, 연소기구 | 고노동시 위험 |
신축공동주택 공기질 관리
- 측정빈도(측정장소 수)
- 100세대의 경우 : 3개의 측정장소
- 100세대 초과하는 경우 : 100세대 마다 1개의 측정장소 추가
- 실내공기질 측정항목 및 권고기준
물질 기준 포름알데히드 210㎍/㎥ 이하 벤젠 30㎍/㎥ 이하 톨루엔 1,000㎍/㎥ 이하 에틸벤젠 360㎍/㎥ 이하 자일렌 700㎍/㎥ 이하 스티렌 300㎍/㎥ 이하 라돈 148Bq/㎥ 이하 - 측정결과치 공고
- 주민입주 3일 전까지 시장, 군수, 구청장에 제출
- 주민입주 3일 전부터 60일간 주민들이 잘 볼 수 있도록 공고
- 공동주택 관리사무소 입구 게시판
- 각 공동주택 출입문 게시판
- 시공자의 인터넷 홈페이지
실내공기질 향상방안(저감방안)
- 환기 및 환기시스템
- 입주 후 2~3시간/일 전체공기 완전 환기
- 환기시스템 설치 비용 증가 및 층고 낮아짐 문제
- 청소 불량으로 인한 2차 오염, 소음 우려
- 베이크아웃(Bake Out)
- 입주전 보일러 가동으로 실내 온도를 높여 건축자재에 내포된 유해물질을 밖으로 배출하고 환기하는 방법
- 유해물질 제거에 어느 정도 효율, 깊이 박혀있는 유해물질 제거에는 한계, 난방비 증가
- 보통 3일 정도 베이크 아웃 하면 2~3주 효과, 한달 이상 지나면 일정수준 다시 회복
- 친환경 자재사용
- 앞으로 지향해야 할 방법, 지속발전 전망
- 인증된 재료의 보편화가 이루어지지 않음
- 민간요법
- 참숯, 양파 등을 실내에 배치하여 오염물질 흡착
- 비용 적게들고 효과 있는 편이나 근보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음
- 광촉매 시공
- 비용이나 효율면에서 우수한 방법
- 완벽한 조건하에 공기정화기능 및 향균기능 99.9% 성능발휘
- 현장에서 제대로 시공시 60~70% 정도의 저감 효과 발휘
- 시공 후 표시가 나지 않으므로 신뢰할만한 업체 선정
- 공기정화기
- 효과적인 관리 위해 거실, 방마다 하나씩 설치
- 설치비용, 유지관리비용 발생
- 청소 소할 할 경우 성능 감소
연관문제
녹색건축 인증제도
참고문헌(출처)
- 친환경 주거계획을 위한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관한 조사연구 / 이범규
- 새집증후군의 실태화 대처방안 / 정두용, 김옥규
-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규칙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