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12년 96회 3교시 3번 : 콘크리트 벽체의 시멘트모르타르바름공사에서 발생하는 결함의 형태별 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6년 79회 2교시 4번 : 미장공사의 하자유형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개요
- 미장공사는 흙, 시멘트모르타르, 석고 플라스터 등의 바름 재료를 건물의 내·외벽, 바닥 및 천장에 흙손 또는 뿜칠기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마무리 하는 공사이다.
- 미장공사에서 발생하는 결함은 구조체의 부동침하, 바탕 불량, 미장재료 및 시공부주의 등이 있다.
미장공사 하자의 유형 및 원인
결함 유형 | 원인 | 대책 |
---|---|---|
균열 | - 건조수축 - 모르타르 배합(비) 불량 - 동절기, 하절기 시공 - 구조체 균열, 이질재 접합 | - 습윤상태 유지(양생철저) - 충분한 모르타르 배합 - 동·하절기 외기온도에 유의 - Metal lath, Control Joint |
탈락 (들뜸) | - 바탕처리 미흡 - 동절기 시공 - 부주의 | - 바탕처리 철저 - 주변온도 3℃ 이하 시공 금지 - 관리, 보양 철저 |
미경화 | - 동절기 시공 - 양생기간 부족 - 모르타르 배합(비) 불량 | - 주변온도 3℃ 이하 시공 금지 - 시공면 양생 철저 - 충분한 모르타르 배합 |
미장면 불균질 | - 숙련도 부족 - 모르타르 배합(비) 불균질 - 바름횟수 미실시 - 미장 바탕면 요철, 돌출 | - 숙련공에 의한 시공 - 모르타르 배합(비) 준수 - 바름횟수 준수 - 파취 후 시공 |
미장공사 하자 방지대책(시공시 유의사항)
- 바탕처리
- 균열, 재료분리, 과도한 요철, 철근, 구멍 등 제거, 보수, 방수처리
- 바탕은 바름 직전 청소, 먼지 등이 붙어 있는 경우 초벌바름 전날 물로 청소
- 콘크리트, 블록 등 초벌바름이 건조한 것은 미리 적당히 물축임
- 재료의 취급
- 지면보다 최소 300mm 이상 높은 마룻바닥이 있는 창고에서 건조한 상태로 보관
- 시멘트 쌓기 단수는 13포대 이하
- 배합 및 비빔
- 바탕에 가까운 바름층일수록 부배합, 정벌바름에 가까울수록 빈배합
- 분말재료는 건비빔, 액상재료는 미리 물과 혼합
- 재료는 균일해 질 때까지 충분히 비빔
- 시공
- 초벌바름은 훍손으로 충분히 누르고 틈이생기지 않도록 유의
- 흙손작업은 바름층이 굳기 전에 완료
- 뿜칠은 얼룩, 흘러내리기, 공기방울 등의 결함이 없도록 작업
- 보양
- 시공전 : 미장 근접부위 오손되지 않도록 보양, 통풍·일조·비·바람 등을 막기위한 보양
- 시공중 : 주변온도 3℃ 이하 시공금지, 시공시 5℃ 이상 유지, 급격한 건조 방지
- 시공후 : 먼지 부착우려 부위 방풍보양, 조기 건조 우려부위 시트 보양
기출문제
- 2014년 103회 2교시 5번 : 공동주택의 미장공사에서 온돌바닥의 품질기준 및 균열저감을 위한 시공단계별(전,중,후)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2년 98회 4교시 1번 : 공동주택 바닥미장 공사에서 시멘트 모르타르 미장균열의 원인과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9년 87회 4교시 4번 : 공동주택 방바닥 미장공사의 균열 발생요인과 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개요
- 온돌미장 시공은 비교적 쉬운 공정에 속하지만 평활도와 재료의 분리 등으로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온돌바닥 요구성능
- 일정수준 이상의 압축강도 필요(피아노, 가구 등 하중작용)
- 바닥 평활도가 우수하고 균열 발생 없어야 함
-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대한 내구성 요구
- 장판이나 온돌 마루 등의 마감재의 부착이 용이
- 빠르고 고른 열 방출 위해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가 바람직
균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
- 평면이 변하는 부위
- 단면상 두께가 변하는 부위
- 돌출부 및 출입구 주변
균열원인
구분 | 종류 | 원인 및 현상 | 발생시기 |
---|---|---|---|
경화전 | 소성수축 | - 몰탈 시공면으 급격한 건조 - 기포층의 급속한 수분 흡수 - 균열 폭이 크며, 일사 및 발람의 영향을 받는 곳에 집중발생 | 타설후 30분~6시간 1일 이내 |
소성침하 | - 온수 Pipe 하단 충진 부족 - W/C 과다로 골재 침하 - 기포층의 급속한 수분 흡수 - 몰탈 층의 시공두께 부족 | ||
경화후 | 건조수축 | - 장기재령에서 몰탈 경화체 내부의 수분증발로 인한 인장응력이 인장강도 초과할 때 - 미세균열 형태로 발생, 점차 진행 | 타설후 수주일에서 수개월 사이 |
방지대책
- 기포층은 바닥용 레미탈 시공전 충분한 물을 뿌려 함수 후 시공
- 온수 파이프는 바닥면에 견고하게 설치, 곡선부위 와이어메쉬, 메탈라스 설치
- 동절기 동해 방지, 보양 철저(작업주위 온도 5℃ 이상 유지)
- 봄, 가을 건조한 대기 상태를 고려하여 기포층에 미리 살수, 표면건조 유의
- 수분증발로 공극속 수분이 감소하며 표면장력이 증가되는 시점에 미장작업 실시
- 미장작업 회수가 많을수록 바닥면이 매끄럽고, 경화체가 치밀해져 장기 건조수축균열 감소
- 온수 Pipe 하부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짐작업 철저
- 시공 후 2일째 부터 습윤양생 실시
- 초기 양생중(최소3일) 출입금지, 충격·진동 금지
연관문제
바닥강화재 - 셀프레벨링 모르타르 - 콘크리트 균열 원인/대책 - 소성수축균열 - 건조수축균열 - 침하균열
참고문헌(출처)
- 표준시방서 KCS 41 46 00 미장공사 / 국가건설기준센터
- 공동주택 건축공사의 하자유형과 대책에 관한연구 / 김종태
- 공동주택 바닥 마감재 하자예방을 위한 온돌바닥 몰탈시공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현수
- 건축시공기술 / 대한건축학회
- 건축기술지침 2 / 대한건축학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