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장공사 하자유형과 방지대책

 


기출문제

  • 2012년 96회 3교시 3번 : 콘크리트 벽체의 시멘트모르타르바름공사에서 발생하는 결함의 형태별 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6년 79회 2교시 4번 : 미장공사의 하자유형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개요

  1. 미장공사는 흙, 시멘트모르타르, 석고 플라스터 등의 바름 재료를 건물의 내·외벽, 바닥 및 천장에 흙손 또는 뿜칠기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마무리 하는 공사이다.
  2. 미장공사에서 발생하는 결함은 구조체의 부동침하, 바탕 불량, 미장재료 및 시공부주의 등이 있다.

 

미장공사 하자의 유형 및 원인

결함 유형원인대책
균열- 건조수축
- 모르타르 배합(비) 불량
- 동절기, 하절기 시공
- 구조체 균열, 이질재 접합
- 습윤상태 유지(양생철저)
- 충분한 모르타르 배합
- 동·하절기 외기온도에 유의
- Metal lath, Control Joint
탈락
(들뜸)
- 바탕처리 미흡
- 동절기 시공
- 부주의
- 바탕처리 철저
- 주변온도 3℃ 이하 시공 금지
- 관리, 보양 철저
미경화- 동절기 시공
- 양생기간 부족
- 모르타르 배합(비) 불량
- 주변온도 3℃ 이하 시공 금지
- 시공면 양생 철저
- 충분한 모르타르 배합
미장면
불균질
- 숙련도 부족
- 모르타르 배합(비) 불균질
- 바름횟수 미실시
- 미장 바탕면 요철, 돌출
- 숙련공에 의한 시공
- 모르타르 배합(비) 준수
- 바름횟수 준수
- 파취 후 시공

 

미장공사 하자 방지대책(시공시 유의사항)

  1. 바탕처리
    1. 균열, 재료분리, 과도한 요철, 철근, 구멍 등 제거, 보수, 방수처리
    2. 바탕은 바름 직전 청소, 먼지 등이 붙어 있는 경우 초벌바름 전날 물로 청소
    3. 콘크리트, 블록 등 초벌바름이 건조한 것은 미리 적당히 물축임
  2. 재료의 취급
    1. 지면보다 최소 300mm 이상 높은 마룻바닥이 있는 창고에서 건조한 상태로 보관
    2. 시멘트 쌓기 단수는 13포대 이하
  3. 배합 및 비빔
    1. 바탕에 가까운 바름층일수록 부배합, 정벌바름에 가까울수록 빈배합
    2. 분말재료는 건비빔, 액상재료는 미리 물과 혼합
    3. 재료는 균일해 질 때까지 충분히 비빔
  4. 시공
    1. 초벌바름은 훍손으로 충분히 누르고 틈이생기지 않도록 유의
    2. 흙손작업은 바름층이 굳기 전에 완료
    3. 뿜칠은 얼룩, 흘러내리기, 공기방울 등의 결함이 없도록 작업
  5. 보양
    1. 시공전 : 미장 근접부위 오손되지 않도록 보양, 통풍·일조·비·바람 등을 막기위한 보양
    2. 시공중 : 주변온도 3℃ 이하 시공금지, 시공시 5℃ 이상 유지, 급격한 건조 방지
    3. 시공후 : 먼지 부착우려 부위 방풍보양, 조기 건조 우려부위 시트 보양


기출문제

  • 2014년 103회 2교시 5번 : 공동주택의 미장공사에서 온돌바닥의 품질기준 및 균열저감을 위한 시공단계별(전,중,후)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2년 98회 4교시 1번 : 공동주택 바닥미장 공사에서 시멘트 모르타르 미장균열의 원인과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9년 87회 4교시 4번 : 공동주택 방바닥 미장공사의 균열 발생요인과 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개요

  1. 온돌미장 시공은 비교적 쉬운 공정에 속하지만 평활도와 재료의 분리 등으로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온돌바닥 요구성능

  1. 일정수준 이상의 압축강도 필요(피아노, 가구 등 하중작용)
  2. 바닥 평활도가 우수하고 균열 발생 없어야 함
  3.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대한 내구성 요구
  4. 장판이나 온돌 마루 등의 마감재의 부착이 용이
  5. 빠르고 고른 열 방출 위해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가 바람직


균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

  1. 평면이 변하는 부위
  2. 단면상 두께가 변하는 부위
  3. 돌출부 및 출입구 주변

 

균열원인

구분종류원인 및 현상발생시기
경화전소성수축- 몰탈 시공면으 급격한 건조
- 기포층의 급속한 수분 흡수
- 균열 폭이 크며, 일사 및 발람의 영향을 받는
곳에 집중발생
타설후
30분~6시간
1일 이내
소성침하- 온수 Pipe 하단 충진 부족
- W/C 과다로 골재 침하
- 기포층의 급속한 수분 흡수
- 몰탈 층의 시공두께 부족
경화후건조수축- 장기재령에서 몰탈 경화체 내부의 수분증발로
인한 인장응력이 인장강도 초과할 때
- 미세균열 형태로 발생, 점차 진행
타설후
수주일에서
수개월 사이

 

방지대책

  1. 기포층은 바닥용 레미탈 시공전 충분한 물을 뿌려 함수 후 시공
  2. 온수 파이프는 바닥면에 견고하게 설치, 곡선부위 와이어메쉬, 메탈라스 설치
  3. 동절기 동해 방지, 보양 철저(작업주위 온도 5℃ 이상 유지)
  4. 봄, 가을 건조한 대기 상태를 고려하여 기포층에 미리 살수, 표면건조 유의
  5. 수분증발로 공극속 수분이 감소하며 표면장력이 증가되는 시점에 미장작업 실시
  6. 미장작업 회수가 많을수록 바닥면이 매끄럽고, 경화체가 치밀해져 장기 건조수축균열 감소
  7. 온수 Pipe 하부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짐작업 철저
  8. 시공 후 2일째 부터 습윤양생 실시
  9. 초기 양생중(최소3일) 출입금지, 충격·진동 금지


연관문제

바닥강화재 - 셀프레벨링 모르타르 - 콘크리트 균열 원인/대책 - 소성수축균열 - 건조수축균열 - 침하균열

 

참고문헌(출처)

  • 표준시방서 KCS 41 46 00 미장공사 / 국가건설기준센터
  • 공동주택 건축공사의 하자유형과 대책에 관한연구 / 김종태
  • 공동주택 바닥 마감재 하자예방을 위한 온돌바닥 몰탈시공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현수
  • 건축시공기술 / 대한건축학회
  • 건축기술지침 2 / 대한건축학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