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4년 134회 1교시 7번 : 조적조 백화현상
- 2024년 133회 2교시 4번 : 벽돌공사에서 수직 및 수평 신축줄눈 구성 방법과 균열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4년 132회 3교시 5번 : 조적조의 백화 현상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2년 126회 2교시 3번 : 조적조 벽체의 균열 원인 및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 2021년 123회 4교시 2번 : 아파트세대 내부벽체 조적공사 시공순서와 품질관리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0년 122회 2교시 5번 : 점토벽돌 조적공사에서 수평방향 거동에 의한 균열의 방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5년 106회 3교시 6번 : 조적벽체 줄눈의 백화발생 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4년 103회 4교시 6번 : 외벽타일 및 벽돌 벽체의 백화발생 원인, 방지대책 및 제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3년 99회 2교시 4번 : 외벽 점토벽돌공사의 백화원인과 방지대책을 설계, 재료, 시공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 2011년 93회 3교시 2번 : 조적조 벽돌벽체에서 발생하는 균열의 원인을 계획·설계 측면과 시공 측면에서 설명하시오
- 2009년 89회 2교시 5번 : 조적조 벽체에 발생하는 백화현상과 관련된 특성요인도를 작성하고, 그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 2003년 70회 4교시 5번 : 조적공사의 벽체균열 원인과 대책을 기술하시오.
개요
- 조적조 벽체에 발생하는 균열은 내구성의 저하, 단열성능 저하, 백화, 미관상 불쾌감 등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 백화란 빗물에 의해 모르타르 석회분이 유출하여 수산화칼슘[Ca(OH)₂]이 되어 표면에 유출 될때 공기중의 탄산가스(CO₂) 또는 벽돌의 유황성분과 결합하여 흰 가루가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균열의 원인
- 구조적 결함
- 풍하중 : 구조체 작용 풍하중이 벽돌로 이동
- 부동침하 : 수평하중이 약한 구조체에 인장력이 작용
- 구조체 수축 : 크리프 변형, 건조수축
- 부피의 변화 : 벽돌의 열팽창, 습윤팽창, 건조수축 등 부피변화
- 하중 : 상부 하중이 하부로 고루 분산되지 않고 집중하중 작용
- 설계적 결함
- 수축의 불일치
- 내력의 부족 및 불균형 : 개구부로 인하여 내력 불균형 발생
- 벽량부족 : 내력벽 벽량 15cm/㎡ 이상
- 이질재 접합부 : RC조 기둥과 벽돌벽의 접합부 등
- 시공적 결함
- 부적정한 재료의 사용
- 1일 쌓기량, 쌓기법 미준수
- 양생 불충분
균열 대책
- 설계대책
- 지반조사의 의한 기초 결정으로 부동침하 예방
- 벽량확보 및 균등한 벽의 배치
- 시공대책
- 소요강도와 흡수율 등 품질이 확보된 것 사용
- 1일 쌓기 높이 1.2m(18켜)를 표준, 최대 1.5m(22켜)이하
- 도면, 시방서에 정한바 없을 경우 영식 또는 화란식 쌓기
- 12시간동안 하중을 받지 않도록하고 3일 동안 집중하중 받지 않도록
- 진동, 충격, 횡력 등 하중 방지
- 평균기온 -4℃ ~ 4℃ 까지는 최소한 24시간 보온막 설치
- 테두리보, 인방보 설치
- 수직하중을 균등히 분산
- 벽체의 일체성 확보
- 보강근 설치
- 개구부의 양측
- 건물 모서리 부분
- 벽체의 교차부
- 신축줄눈시공
- 3.8mm 두께의 스테인리스 스틸, 냉간압연 구리판 등을 사용
- 신축줄눈 스트립으로는 탄성충전재, 네오프랜, 압출 플라스틱 등 사용
백화의 원인
- 벽돌벽면의 빗물 침입
- 재료불량
- 시공불량
- 기온이 낮을 때
- 습도가 높을 때
- 물시멘트비가 클 때
백화 방지대책
- 양질의 벽돌을 사용
- 줄눈 모르타르에 방수제를 혼합
- 빗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비막이 설치
- 벽돌 표면에 파라딘 도료 도포로 염류의 유출 방지
- 낮은 물시멘트비로 시공
- 눈, 비올때 작업금지
연관문제
테두리보와 인방보 - 부축벽
참고문헌(출처)
- 표준시방서 KCS 41 34 00 조적공사 / 국가건설기준센터
- 건축시공학 / 강병두 저
- 건축기술지침 건축Ⅱ/ 대한건축학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