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막방수(Fluid Applied Waterproofing) & membrane 방수

 


기출문제

  • 2023년 131회 4교시 2번 : 도막 방수공법 시공 및 품질관리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4년 103회 4교시 5번 : 도막방수 공법의 재료별 분류 및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2년 97회 4교시 5번 : 건축물 방수공사에 적용하고 있는 아스팔트(Asphalt)방수공법, 시트(Sheet)방수공법, 도막방수공법의 장 · 단점을 비교설명하고, 시공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 2007년 83회 1교시 13번 : 도막(Membrane) 방수
  • 2006년 78회 2교시 6번 : Membrane 방수공사의 사용재료별 시공방법을 기술하시오.
  • 2004년 73회 2교시 2번 : 도막방수의 방수재료에 대하여 설명하고 시공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개요

  1. 도막방수(Fluid Applied Waterproofing)란 도료상의 액상재료를 방수 바탕에 바르거나 뿜칠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2. Membrane 이란 아스팔트 방수층, 개량 아스팔트 시트 방수층, 합성고분자계 시트 방수층 및 도막 방수층 등 불투수성 피막을 형성하여 방수하는 공사를 총칭

<습기로 인한 기포발생>



도막방수 특징(장단점)

  1. 장정
    1. 바탕균열 추종성 우수
    2. 부착성 우수
    3. 온도 적응성 우수
    4. 복잡한 형상에 시공성 우수
    5. 밀착공법으로 결함부 발견용이(국부보수 가능)
  2. 단점
    1. 균일시공 곤란(바탕체의 표면평활도에 영향)
    2. 충격에 약함
    3. 바탕체의 표면평활도
    4. 주제와 경화제 배합관리 필요
    5. 휘발성 유기용제 사용에 의한 환기 및 화재 주의


도막방수 공법

  1. 도포형 : 방수재를 주걱, 솔, 롤러 등을 사용하여 도포
  2. 뿜칠형 : 뿜칠기로 분사하여 방수층을 형성
  3.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 유리섬유 등의 보강포에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계 도막방수재를 적층 도포


도막방수재료

  1. 도막방수재
    1. 우레탄고무계 : 노출형 우레탄 고무계 1류, 비노출형 고무계 2류로 구분
    2. 아크릴고무계 : 아크릴 고무 에멀젼 방수재
    3. 고무아스팔트계 :고무 아스팔트 에멀젼 방수재
    4. 무기, 유기질 혼화재 : 무질질 특수 활성재의 분말재료와 고분자 에멀젼을 주된 원료로 하는 복합방수재
  2. 프라이머
    1. 경질형 프라이머 : 방수층과 바탕을 견고하게 접착
    2. 연질형 절연형 프라이머 : 구조체 거동에 방수츠의 파손을 방지, 유연하게 밀착
  3. 보강포
    1. 바탕에 균열 발생시 방수층의 동시 파단 또는 크리프 파단의 위험을 경감
    2. 균일한 도막두께의 확보
    3. 치켜올림과 경사부에서 흘러내림 방지
  4. 기타
    1. 절연용테이프
    2. 마감도료, 화장재
    3. 우레탄 포장재, 보호완충재 

  • 절연용테이프 : 바탕면 거동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바탕과 방수층 사이에 사용하는 테이프
  • 우레탄 포장재 : 방수층을 보호, 운동 · 보행이 가능하도록 방수층위에 도포하는 재료(우레탄수지)
  • 화장재 : 도막방수층 위에 미관상 목적으로 사용
  • 보호완충재 : 방수층 표면에 설치하여 후속작업의 충격 등에 방수층 보호(스티로폼, 두꺼운섬유 등)

 

시공시 유의사항

  1. 기상 및 환경
    1. 기온이 5℃ 이하 시공금지
    2. 강우 강설 또는 바탕이 건조되지 않은 경우 시공금지
  2. 자재의 품질관리
    1. 제조회사명, 제품규격별 인장강도 가열신축율, 인장강도비, 신장율 시험
    2. 제조업자명, 제조년월일, 유효기간 검수 후 반입
  3. 바탕처리
    1. 구배 - 비노출 1/100 이상, 노출 1/50
    2. 요철, 균열, 들뜸, 레이턴스, 취약부, 돌기부, 철선 등 이물질 제거
    3. 건조·습윤상태 확인 : 표면함수율 10% 이하, 프라이머 사용시 30% 이하
    4. 지나치게 매끄러운 표면 접착력 확보위한 고압수세척기 등 조치
    5. 먼지, 유지류, 오염, 녹 또는 박리제 등이 없을 것
    6. 치켜올림, 모서리부위 처리, 관통파이프, 드레인 주위 처리


  4. 프라이머 도포
    1. 균일하고 빠짐없이 도포
    2. 프라이머 도포 후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
  5. 도막방수재 바르기
    1. 절연처리 : 접합부, 이음타설부, 조인트 부위 등은 절연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미리 덧바름
    2. 보강붙임 : 치켜올림부, 오목모서리, 드레인주변, 돌출부 주위에서 부터 시작
    3. 보강포 겹침 : 주름이나 구김살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겹침폭은 50mm 정도
    4. 방수재 도포 : 핀홀이 생기지 않도록 균일하게 도포, 보강포 위에는 불침투 생기지 않도록
    5. 도포 순서 : 바닥 : 치켜올림부 → 평면부, 벽체 : 아래 → 위
    6. 겹쳐바르기 :  앞 공정 칠 방향과 직교해서 실시, 겹쳐바르기 또는 이어바르기 폭은 100mm 내외
    7. 환기, 화재 : 실내작업시 유독가스 환기조치, 용제형 인화성에 주의


  6. 방수층 검사 확인
    1. 도막두께 : 다이얼게이지식 도막두께 측정기 이용
    2. 박리, 들뜸, 팽창 및 핀홀 유무 확인
    3. 부착강도 측정 및 담수(누수) 테스트
  7. 보호마감
    1. 현장타설콘크리트, 시멘트 모르타르, 도장, 자외선 차단재(Top - Coat) 등을 사용
    2. 보호마감 시공중 방수층을 다치는 경우가 없도록 주의


Membrane 방수

  1. 아스팔트 방수
  2. 개량 아스팔트 시트 방수
  3. 합성고분자계 시트 방수
  4. 도막 방수


Membrane 공법별 비교

구분아스팔트방수시트방수도막방수
장점- 외기에 대한 내열화성이 우수
- 방수성능이 우수
- 두께가 균일
-시공이 간단하고 공기단축
- 운반이 용이
- 상온공법으로 공해저감
- 다소 신축성 발휘
- 바탕균열 추종성 우수
- 부착성 우수
- 온도 적응성 우수
- 복잡한 형상 시공성 좋음
- 밀착공법으로 결함부 발견용이
단점- 시공성 나쁨
- 결함부 발견 어려움
(누수시 국부적 보수곤란)
- 용융시 악취 발생
- 보호누름층 필요
- 누수시 국부적 보수곤란
- Sheet이음부위 결함 우려
- 외상에 약해 파손 우려
- 복잡한 형상 시공 곤란
- 벽체부위 박리,처짐우려
- 균일시공 곤란
- 충격에 약함
- 바탕체의 표면평활도에 영향
- 주제와 경화제 배합관리 필요
- 환기 및 화재에 주의
시공시
유의사항
- 용융온도 측정
- 취약부 루핑보강
- 겹침폭 100mm 이상
- 물구배와 직각방향, 아래에서 위로 겹침
- 이음시공부위 등 덧붙임 시공
- 기포 및 주름 주의
- 겹침폭 100mm 이상
- 물구배와 직각방향, 아래에서 위로 겹침
- 접합부, 이음타설부 절연처리
- 치켜올림, 모서리, 드레인주위 보강붙임
- 핀홀이 생기지 않도록 균일하게 도포
- 실내작업시 환기조치, 인화성에 주의


연관문제

아스팔트방수 - 시트방수 - 옥상녹화방수 - 방수의 하자(결함)

 

참고문헌(출처)

  • 표준시방서 KCS 41 40 06 도막방수공사 / 국가건설기준센터
  • KS F 3211, 지붕용 도막방수재
  • 건축기술지침 / 대한건축학회
  • 건축시공기술 / 대한건축학회
  • 건축시공학 / 강병두 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