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4년 134회 1교시 12번 :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 2023년 130회 2교시 3번 :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의 등급기준과 층간소음저감을 위한 완충재 설치 전·후 확인사항, 경량기포콘크리트 및 방바닥 미장 타설 전·후 확인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2년 127회 1교시 4번 :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 2021년 123회 1교시 2번 : 바닥충격음 차단 인정구조
- 2019년 119회 4교시 1번 :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관리방안을 골조, 완충재, 기포콘크리트, 방바닥미장 측면에서 설명하고, 중량과 경량 충격음을 비교 설명하시오.
- 2019년 118회 2교시 6번 :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의 시공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 2019년 117회 3교시 5번 : 공동주택에서 세대내 소음의 종류와 저감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8년 115회 4교시 3번 :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30세대 이상 벽식구조 공동주택의 표준바닥구조(콘크리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6년 110회 4교시 2번 : 공동주택 세대간 경계벽 시공기준을 설명하고, 층간 소음발생 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6년 108회 2교시 1번 :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구조의 소음저감방안 및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3년 100회 1교시 8번 : 뜬바닥 구조(Floating floor)
- 2013년 99회 3교시 2번 :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 표준바닥구조(국토해양부고시 기준)에서 벽식구조 및 혼합구조, 라멘구조, 무량판구조의 단면상세 구성기준과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0년 90회 4교시 6번 :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의 원인 및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8년 86회 2교시 6번 : 차음성능에 관한 이론으로 벽식아파트의 고체전파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8년 85회 1교시 8번 : 층간소음 방지재
- 2007년 83회 4교시 3번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향상 방안을 설명하시오.
- 2005년 77회 3교시 5번 : 공동주택 바닥 차음을 위한 제반 기술(技術)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5년 75회 3교시 5번 : 공동주택의 충격 소음의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1년 65회 1교시 1번 : 층간 소음방지
개요
- 보행, 물체의 이동·낙하 등에 의한 충격과 진동이 구조체를 진동시켜 전파되는 소리를 고체전파음 이라 한다.
- 구조체에 가해진 충격과 진동은 인접세대에 쉽게 전달되고 피해범위는 공기전파음 보다 넓다.
- 층간소음(Floor Impact Sound)이란 고체 전파음이 공간에서 공기 전파음으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층간소음의 원인
- 아이들 뛰는 소리
- 의자, 테이블 등 집기류의 이동
- 보행 충격음
- 세탁기, 청소기 등의 소음
- 엘리베이터등 기계설비 진동음
- 급배수 배관의 유수진동 소음
- 악기 연주
층간소음 전달과정
바닥충격음
- 경량충격음
- 가볍고 딱딱한 소리, 잔향 없어 불쾌감 적음
- 가벼운 물체 낙하, 집기류 이동 소리 등
- 직경 30mm, 무게 500g 의 5개 스틸해머를 40mm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측정
- 중량충격음
- 무겁고 부드러운 소리, 잔향이 남아 불쾌감 유발
- 아이들 뛰는 소리, 무거운 물체 낙하 소리 등
- 공기압 2.4 × 105Pa, 무게 7.3kg의 타이어를 850mm 높이에서 자유악하시켜 측정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등급기준>
바닥충격음 저감대책
- 뜬 바닥(Floating Floor) 공법
- 완충재를 사용하여 슬라브로 충격에너지 전달 최소화
- 콘크리트 슬라브와 마감 모르타르 층 사이에 완충재 삽입하여 고체음 전달 절연
- 중량충격음 보다 경량충경음 저감에 효과적
- 중량·고강성 바닥공법
- 바닥 슬라브 두께 증가 또는 밀도를 높여 중량화 시키는 방법
- 바닥 슬라브 두깨가 중량충격음레벨의 증감에 직접적인 영향
- 중량충격음에 효과
- 표면완충공법
- 충격원의 특성을 변화 시키는 방법
- 유연한 바닥 마감재를 사용하여 피크 충격력 감소
- 고주파 대역에서의 충격음레벨을 저하
- 경량충격음 저감에 효과 크나 충량충격음에는 효과 거의 없음
- 차음 이중 천정 설치
- 하부 층의 천정을 차음구조로 설치, 층간소음을 추가적으로 차단
- 경량 및 중량충격음에 효과적
- 천정 높이 제한적인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실정에 다소 불리
<벽식구조 표준바닥구조2>
층간소음 방지재(완충재)
- 의의
- 층간소음 방지재란 바닥충격음의 차음을 목적으로 하는 바닥에 설치하는 완충재
- 층간소음방지재 요구조건
-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탄성력과 복원력 가질 것
- 재질자체에 감쇠성을 가질것
- 오랜 수명과 무공해 소재일 것
- 표준바닥구조용 완충재의 기준
- 바닥설치용
가. 밀도 : KS M ISO 845의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
나. 동탄성계수 : 40MN/㎥이하, 손실계수 0.1~0.3
다. 흡수량 : 4%v/v이하, 가열 후 치수 안정성 5% 이하
라. 가열(70℃, 48시간) 후 동탄성계수 : 증가량이 20%초과 하면 안됨, 손실계수 0.1~1.3 - 벽설치용
가. 동탄성계수 : 150MN/㎥이하
나. 두께 : 50mm 이상 - 시공시 주의사항
- 시공면 바닥면 청소 후 음향가교현상(Sound bridge)이 일어날 부분 미리 제거
- 벽체의 진동 전달을 절연하기 위해 절연재를 설치, 높이는 뜬바닥의 두께보다 높게 설치
- 이음부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TAPE로 접합
연관문제
차음공사(공법)
참고문헌(출처)
- 공동주택바닥충격음 차단구조 인정 및 관리기준
-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피해실태와 개선공법에 관한 연구 / 김찬주 외 3인
- 공동주택 층간소음방지재 시방서 / SORI-EN PLUS(플러스) SYSTEM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