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09년 87회 1교시 8번 : 건축용 방화재료(防火材料)
- 2003년 71회 1교시 11번 : 방화재료(防火材料)
개요
- 방화재료란 화재의 가열에 있어서 화재의 확대를 억지하고, 연기 또는 유해가스의 발생으로 피난을 저해하는 일이 없는 재료를 말한다.
- 건축법에 규정되는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의 총칭
- 화재 초기단계에서 건축방화, 안전피난을 고려하면 마감재료의 불연화는 매우 중요하다.
화재특성
- 발열성
- 착화성
- 발연성, 가스발생성
방화재료 요구 안전성능
- 연소에 대한 안전
- 연기발생에 대한 안전
- 유해가스 발생에 대한 안전
- 단열에 대한 안전
방화재료의 구분
- 불연재료(난연1급)
- 불에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 콘크리트, 석재, 벽돌, 기와, 철강, 알루미늄, 유리
- 시멘트모르타르 등 미장재료를 사용하는 경우는 정한 두께 이상인 것
- 준불연재료(난연2급)
-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 석고보드, 목모시멘트판, 펄프시멘트판, 미네랄텍스
- 난연재료(난연3급)
-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능을 가진 재료
- 난연합판, 난연플라스틱판
난연성능에 대한 건축법과 KS F2271비교
연관문제
층간방화구획 - 철골의 내화피복 - 폭열현상 - 목재의 내화공법
참고문헌
- 건축법 시행령 제2조
-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고나한 규칙
-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확산 방지구조 기준
- KS F 2271, 건축물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 건축용어사전
- 방화재료의 지정 / 김기석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