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수공사의 하자(결함)

 


기출문제

  • 2024년 134회 3교시 4번 : 지붕층 방수공사 시 고려사항 및 시공하자 발생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4년 132회 4교시 4번 : 지붕층 방수공사 시공 계획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2년 128회 2교시 6번 : 방수공사에서 부위별 하자 발생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2년 128회 3교시 4번 : 공동주택의 외기에 면한 창호주위, 발코니, 화장실 누수의 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2년 126회 3교시 3번 : 지붕재의 요구성능과 지붕누수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 2020년 120회 4교시 6번 : 건축물 지붕방수 작업 전 검토사항 및 지붕누수 원인과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 2010년 91회 2교시 3번 : 방수공사의 시행 전에 방수성능향상을 위해 행해야 할 사전조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7년 82회 3교시 2번 : 방수공사 시 설계 및 시공상의 품질관리 요령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7년 81회 2교시 1번 : 벽식구조 APT의 외벽 및 옥상 Parapet에서 발생하는 누수하자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 2001년 63회 2교시 4번 : 옥상 도막 방수공사에서 방수하자 원인과 방지대책을 기술하시오.


개요

  1. 누수로 인한 하자는 구조체의 내구성 저하, 생활의 불편 등을 초래
  2. 공법 및 부위별 요구성능에 적합한 공법선정과 더불어 바탕처리 준수, 취약부위 보강 등의 조치가 필요


누수의 3요소

  1. 틈새
  2. 압력차
  3. 위 3가지 요소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면 누수는 발생하지 않음


물이 건축 재료에 미치는 영향

  1. 형상, 치수의 변화 : 흡수에 따라 팽창 건조하면 수축
  2. 강도의 변화 : 함수에 따라 팽창하기 때문에 강도 저하
  3. 단열성 감소 : 물에 젖게 되면 단열성능이 저하
  4. 내구성 저하 : 금속재료의 부식은 노후화의 원인
  5. 외장재 및 마감재 오염 : 곰팡이, 백화 현상
  6. 접착성능 저하 : 유기질 재료는 박리나 부풀음 현상 발생

 

방수층의 요구성능

  1. 수밀성능
  2. 폐임성능
  3. 내충격성능
  4. 피로성능
  5. 조인트 변형성능
  6. 흘러내림 성능
  7. 코너부 안정성능
  8. 내풍압성능
  9. 부풀어오름 성능

 

하자의 결함과 요구성능

구분결함내용요구성능
피막자체
결함
⊙ 바탕의 균열, 조인트 부위 거동에 의한 파단
⊙ 시공이나 사용중 충격에 의한 파단
⊙ 국부하중에 의한 방수층 파손
⊙ 기타 화학적, 생물적 요인에 의한 파손
⊙ 접착성, 피로성능
⊙ 내충격성능
⊙ 폐임성능
⊙ 화학적 열화에 대한 저항성
접합부의
결함
⊙ 시공의 과도 또는 과소한 인장
⊙ 기온의 변동에 따른 온도응력차
⊙ 조인트 부위 방수층의 연속성
바탕과의
접착
⊙ 치켜올림부 방수층의 처짐, 흘러내림
⊙ 코너부의 방수층 들끔
⊙ 강풍시에 부압에 의한 유실
⊙ 바탕면 습기에 의한 부풀음
⊙ 치켜올림 부위의 단말부에서의 처짐
⊙ 코너부에서의 안전성
⊙ 내풍압성능
⊙ 부풀어오름 성능
기타⊙ 결함발생에 직결되는 사항은 아니나 결함을 촉진 시키는 역할⊙ 자외선, 오존, 알카리, 물에대한 저항성

 

하자발생원인

  1. 설계상 원인
    1. 도면누락 : 설계도서 방수표시 부정확
    2. 설계검토미흡 : 방수공법 선정 불합리
  2. 재료상 원인
    1. 품질기준 불량 : 배합비 혼합 무시, 기준미달
    2. 재료관리 미흡 : 자재검수 미비, 보관불량
  3. 시공상 원인
    1. 작업전 : Crack, 철물제거 불량, 재료분리, 레이턴스, 바탕처리불량
    2. 작업중 : 숙련공부족, 작업기준 불명확, 무리한 공정진행, 방수공 경험에 의존
    3. 작업후 : 후속 작업에 의한 손상, 습윤보양처리 불량, 충격
    4. 의식 부족 : 방수업체 경험에만 의존, 하자사례 활용 미흡

 

방지대책

  1. 설계상 대책
    1. 도면표기 : 방수위치, 높이, 방법 명확
    2. 검토철저 : 부위, 위치별, 보호층 유무에 따른 공법 선정
  2. 재료상 대책
    1. 품질기준 준수 : 제조사별, 제품별 배합비 준수, KS 규정 이상
    2. 재료관리 : 습기, 온도, 직사광선으로 부터 보호, 적재로 인한 변형 주의
  3. 시공상 대책
    1. 작업전 : 바탕처리 철저
      - 구배 - 비노출 1/100 이상, 노출 1/50
      - 요철, 균열, 들뜸, 레이턴스, 취약부, 돌기부, 철선 등 이물질 제거
      - 건조·습윤상태 확인 : 표면함수율 10% 이하, 프라이머 사용시 30% 이하

      - 지나치게 매끄러운 표면 접착력 확보위한 고압수세척기 등 조치
      - 먼지, 유지류, 오염, 녹 또는 박리제 등이 없을 것
      - 치켜올림, 모서리부위 처리, 관통파이프, 드레인 주위 처리 


    2. 작업중 : 기상상태 확인, 취약부 보강, 균열부위 절연처리
    3. 작업후 : 육안검사(들뜸, 찍힘, 기포), 누수테스트, 보양





연관문제

방수공법의 선정 - 방수층의 요구성능 - 도막방수 - 시트방수 - 아스팔트방수 - 복합방수


참고문헌(출처)

  • 건축기술지침 / 대한건축학회
  • 건물옥상방수에 발생하는 하자 개선방안 및 최적방수 공법선정방법 / 김명섭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