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17년 112회 2교시 2번 : 건축물 신축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종류, 발생저감방안, 처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2년 98회 2교시 1번 : 건축공사 현장에서 건설폐기물의 저감대책 및 관리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0년 91회 3교시 5번 : 건축물해체 시 발생하는 폐기물 문제의 해결을 위한 분별해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9년 89회 4교시 4번 : 건설폐기물의 종류와 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7년 82회 2교시 4번 :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종류와 재활용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4년 73회 4교시 5번 : 고층건물시공에서건설폐기물 발생에 대한 저감대책을 기술하시오.
개요
- 건설폐기물이란 건설공사로 인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5톤 이상의 폐기물을 말한다.
- 분별해체란 건설 부산물의 재활용을 고려하여 분리·선별·부재절단 등의 해체작업과 더불어 폐기물 종류별로 분리하여 해체·반출을 위한 제반 작업을 말한다.
건설폐기물의 종류
- 불연성
- 폐콘크리트
-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 폐벽돌
- 폐블럭
- 폐기와
- 건설폐토석
- 건설오니
- 폐금속류
- 폐유리
- 폐타일 및 폐도자기
- 가연성
- 폐목재
- 폐합성수지
- 폐섬유
- 폐벽지
- 가연성·불연성 혼합
- 폐보드류
- 폐판넬
- 혼합건설폐기물
- 기타
- 건설공사로 인하여 발생되는 그 밖의 폐기물
건설폐기물의 처리방법
- 중간처리 : 소각, 중화, 파쇄, 고형화, 재활용
- 최종처리 : 매립
저감대책
- 발생억제 : 분별해체, 감량화(프리패브, 유니트화, PC화 등)
- 재사용 : 팔레트, 포대, 가설자재 등 재사용
- 재자원화(재생) : 폐콘크리트, 폐목재, 건설오니 등 재활용 기술 개발 및 보급
- 폐기물 관리시스템 구축 : 발생억제 및 재활용화 위한 시스템 및 정책수립
분별해체 공법의 종류
- 인력에 의한 공법, 기계에 의한 공법 또는 인력과 기계에 의한 공법을 병용하여 적용
- 인력 해체 공법 : 지레, 큰 해머 등 간단한 도구를 사용, 내·외장재 및 구조체의 절단 등
- 기계식 공법 : 브레이커공법, 압쇄공법, 와이어 쏘우 공법, 절단공법 등
분별해체폐기물의 처리 절차
해체폐기물 낙하 → 해체폐기물 적치 → 해체폐기물량의 파악 → 해체폐기물의 반출 → 해체폐기물 처리 장소 확보 → 해체발생물의 재활용
분별해체공사의 시공시 유의사항
- 집기·비품을 우선 제거
- 유해물은 사전에 분리하여 철거
- 설비기기 등의 분별해체·철거 시행
- 외부가설 공사 시행
- 구조체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해체공사 시행
연관문제
재생골재 - 건축물 해체공법 - 건설공해
참고문헌(출처)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건설폐기물의 종류별 분류쳬계
- 신축 건설현장 폐기물 저감 및 적정처리 방안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