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5년 135회 2교시 6번 : 건축물 해체공사 시 사전조사 사항 및 공해 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3년 131회 3교시 6번 : 건설공사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공해의 종류와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9년 119회 2교시 4번 :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설공해의 종류와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7년 112회 3교시 4번 : 도심지 건축물 신축공사(지하6층, 지상23층 규모) 진행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 저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7년 83회 4교시 1번 : 건설사업 추진시 예상되는 소음·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사업 추진단계별로 구분, 설명하시오.
- 2007년 82회 3교시 5번 : 도심지 건축공사에서 주변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건설공해의 종류와 방지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5년 76회 2교시 6번 : 해체 공사시 발생하는 공해와 그에 대한 방지 및 안전대책을 기술하시오.
- 2005년 75회 4교시 4번 : 도심지공사에서 현장 인근 민원문제의 대응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2년 68회 2교시 1번 : 건설공해의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현장 환경관리의 요소별 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1) 소음·진동 2) 대기오염 3) 수질오염 4) 폐기물
- 2002년 68회 3교시 4번 : 현장 시공중에 주변 민원으로 공정에 영향을 받는 작업종류와 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개요
- 건설공해는 건설공사의 시공시 발생하는 직접적인 피해요인이 되는 소음·진동, 비산먼지, 지반침하 등이 있다.
- 건설공해로 인근 주민에 피해를 주는 경우 민원 발생의 원인이 되며 발주자 또는 시공자의 책임이 된다.
건설공해의 특징(특수성)
- 공사종료와 함께 소멸(건설공사 기간내에만 발생)
- 현장주변 민원발생 야기
- 제한된 시간과 공간에서만 발생
- 건설공해 자체를 제거할 수 없음
종류
- 소음, 진동
- 비산먼지, 악취
- 지반침하, 지하수 고갈, 수질오염
- 교통장해, 통행불편
- 폐기물
- 일조권 및 조망권 침해, 전파방해
- 정신적 불안감
발생원인 및 대책
건설환경 규제업무
- 특정공사 사전신고
- 비산먼지 발생사업신고
- 사업장 폐기물 배출자 신고
소음·진동·미세먼지 규제기준
- 생활소음 규제기준
- 생활진동 규제기준
- 미세먼지 규제기준
연관문제
재생골재 - 건축물의 해체공법 - 건설폐기물
참고문헌(출처)
- 건설현장 환경관리 실무 / 대한주택공사
- 소음진동관리법
- 환경정책법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