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의 계약방식

 


기출문제

  • 2023년 129회 3교시 6번 :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CM at Risk)의 정의, 한계점 및 개선방안, 적용확대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2년 127회 2교시 1번 : 건설사업관리(CM) 계약의 유형과 주요업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0년 121회 1교시 8번 : CM at Risk에서의 GMP(Guaranteed Maximum Price)
  • 2020년 120회 1교시 10번 : CM at Risk의 프리컨스트럭션(Pre-construction) 서비스
  • 2016년 110회 2교시 2번 :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CM at Risk) 발주방식의 특징과 공공부문 도입시 선결조건 및 기대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0년 91회 1교시 5번 : XCM(Extended Construction Management) 계약방식
  • 2010년 90회 3교시 5번 : 시공책임형 사업관리 (CM at Risk) 계약방식의 특징과 국내 도입시 기대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9년 88회 4교시 6번 :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의 계약방식을 설명하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6년 80회 2교시 1번 : 건설프로젝트 단계별 CM(Construction Management) 업무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개요

  1. CM이란 프로젝트 발주방식의 하나로 발주자의 대리인 역할을 하면서 공사기간, 공사비, 품질 등의 향상을 통하여 발주자의 권익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서비스
  2. 건설사업관리란 건설공사에 관한 기획, 타당성조사, 분석, 설계, 조달, 계약, 시공관리, 감리, 평가 또는 사후관리 등에 관한 관리를 수행하는 것(건설산업기본법)


CM의 기본형태

  1. CM for Fee(대리인형 CM)
    1. 서비스를 제공하고 용역비(fee)를 지급받는 자문 또는 대리인(agency)으로 역할 수행
    2. 시공자나 설계자와 직접적인 계약관계 없음
    3. 공사비용, 공기, 품질 등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음
  2. CM at Risk(시공자형 CM)
    1. CM이 하도급자와 직접 계약하여 시공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담당하여 공사를 수행하는 방식
    2. 해당 공사의 공사비와 공기에 관한 책임과 위험을 부담

구분CM for FeeCM at Risk
장점 - 설계관리 검토가능
- 견제와 균형
- 설계-시공 연계 및 통합
- 발주자의 적극적인 참여
- 설계관리 검토가능
- 발주자 Risk 감소
- 설계-시공 연계 및 통합
- 사업비 보장
단점 - 공사행정 부담 증가
- 발주자 RisK 증대
- 관리기능 중첩우려
- 시공계약액(GMP)에 예비비 과당 계산 우려
- 발주자와 이해 대립 우려
- 설계변경 어려움


CM 계약방식

  1. ACM(Agency CM, 위임형 CM)
    1. 발주자의 대리인 역할을 하며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행정업무 수행
    2. 공사비용, 공기, 품질 등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으며 발주자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3. Pure CM이라고도 하며 GC에서 원도급자의 역할 수행하여 사업비 절감
  2. XCM(Extened CM, 기능확장형 CM)
    1. CM이 AE/CM 또는 CM/도급자의 복수역할 수행을 허용하는 방식
    2. AE와 CM이 결합되는 경우 설계계약은 CM용역을 포함하도록 추가
    3. CM과 도급자가 결합되는 경우 CM계약은 시공과 상호보완 작용
  3. GMPCM(Guranteed Maximum Price CM, 최대가격보장형 CM)
    1. CM이 공사비를 계약상 보증하는 방식
    2. 공사비에 대한 위험을 부담하므로 설계과정 및 설계변경 등을 관리 통제
    3. CM과 도급자의 이중역할을 담당하며 넓은 의미로 시공자형 CM으로 간주

 

CM의 단계별 업무


CM제도의 문제점

  1. 제도적 측면
    1. 국내 건설사업관리체계가 공사감리 위주로 되어 경쟁력 확보에 한계
    2. 일정규모이상의 공공 건설사업에 적용이 임의화 되어 CM시장 확산 저해
  2. 발주자 측면
    1. 기술인력을 보유한 발주청들은 자체인력 활용 및 발주자의 역할 축소 우려로 CM 적용 기피
    2. CM 적용효과에 대한 발주청의 신뢰가 부족한 실정
    3. CMr과 발주자간의 권한 및 책임관계가 불분명
  3. 기타
    1. 현행 CM 관련 규정이 분산규정하고 있어 제도운영이 비효율적
    2. 공동주택 및 민간부분 건설사업에는 CM 적용규정 없어 활용이 저조

 


향후 발전방향

  1. 현행의 건설감리 등 엔지니어링 업무영역을 점차적으로 확대·발전시켜 연계 및 종합화
  2. 대형복합 공공사업에 CM방식의 적용확산 유도
  3. 대형공사 입찰방법의 결정시 CM방식의 적용여부 심의 근거 규정 마련
  4. CM 전문인력 육성 및 관리체계 구축
  5. CM 요소기술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정책개발

 

연관문제

EVMS - PMIS

 

참고문헌(출처)

  • 국내 건설사업관리(CM)제도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 김희정, 김창교
  • CM전문회사 조직구조설계와 CM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낙근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