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3년 130회 2교시 4번 : 건축물 벽체에 발생하는 결로의 종류,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1년 124회 3교시 5번 : 건축물 벽체에 발생하는 결로의 종류,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3년 101회 2교시 3번 : 지하주차장 최하층 바닥과 외벽에서 발생되는 누수 및 결로수 처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1년 95회 3교시 3번 : 여름철 건축물 지하 최하층 바닥에 발생하는 결로(結露)현상으 발생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8년 86회 2교시 4번 : 건축물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부위별, 계절별 요인으로 구분하여 원인을 설명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 2007년 82회 2교시 5번 :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결로의 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2년 66회 1교시 12번 : 표면결로
- 2001년 65회 4교시 4번 : 지하층 외벽과 바닥에 발생하는 결로 방지의 방법과 시공사 유의사항을 기술하시오.
개요
- 결로란 상대습도가 높은 공간에 표면온도가 노점온도 이하 일때 발생하는 이슬을 말하며, 실내외 온도차가 클때발생한다.
- 커튼월은 외피의 많은 부하로 실내의 각종 환경요소 들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결로의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로의 발생 원인(요소)
결로의 피해
- 곰팡이 발생
- 마감재 손상(박리, 박락, 오염 등)
- 구조체의 훼손(내부결로가 원인)
- 열전도율 상승
결로의 분류
- 결로 발생 시기에 따른 분류
- 초기결로 : 준공 후 1~2년 사이 발생, 자재의 함수율 증가 등에 따른 열저항 감소가 원인
- 일반결로
겨울철 결로 - 실내가 높은 습도
여름철 결로 - 외기가 높은 습도 - 결로 발생 부위에 따른 분류
- 표면결로 : 단열성능 부족으로 표면온도가 노점온도 이하가 되는 부위 표면에서 발생
- 내부결로 : 차습층 미확보로 구조체 내부온도가 낮은 부위에 수증기 침투할 경우 발생
건축물 용도별 부위별 결로발생 원인 및 대책
연관문제
커튼월의 결로 - 단열공사 - 열관류율과 열전도율
참고문헌(출처)
- 건축시공기술 핸드북 / 나균석, 박광호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