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출문제

  • 2023년 130회 1교시 2번 :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활성화 방안
  • 2019년 117회 1교시 4번 :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2018년 115회 1교시 12번 : 개방형 BIM(Open BIM)과 IFC(Industry Foundation Class)
  • 2016년 109회 4교시 1번 : 건축시공 및 원가관리 중심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현장 적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1년 93회 4교시 4번 : 건축 시공분야에서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적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0년 90회 1교시 2번 : BIM(Building Informatin Modeling)
  • 2008년 85회 2교시 5번 : 건축공사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필요성과 활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개요

  1. BIM이란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및 폐기 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해 보는 과정을 말한다.
  2. 기존 단순 3D CAD와 달리 모든 부재의 정보를 담고 있는 3D모델로서 좌표예 의한 수치정보 외에 시간, 가격, 물류관리 및 유지관리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BIM의 기대효과(필요성)

  1. 시각화(Visualization) : 3차원 표현으로 현실감 있는 공간검토 가능 및 의사소통 극대화
  2. 자동화(Automation) : 3D 모델로부터 2D 도면 자동생성
  3. 설계 및 시공성 검증(Simulation) : 설계단계에 건축물 성능검증 가능, 시공상 발생 가능한 리스크 확인가능
  4. 협업(Collaboration) : 동시작업으로 설계일정 단축 및 품질향상
  5. 공정관리(Schedule) : 기존 공정관리 프로그램과 BIM 연계하여 공정관리 효율 증대
  6. 물량산출(Quantity) : 작성된 모델로부터 자동 물량산출
  7. 물류관리(Procurement) : 시각적 물류관리 가능
  8. 유지관리(Facility Management) : 유지관리에 필요한 속성정보를 준공모델에 반영 및 활용

 

활용(적용)방안

  1. BIM도면화 : 3차원 모델로부터 모든 도면(평면, 단면, 입면, 상세 등)을 자동으로 작성
  2. 일조, 조망 등 환경분석 : 일조 및 조망, 기존 시설에 끼치는 영향 평가, 에너지사용 및 조도분석 가능
  3. 비정형, 초고층 건물 설계 : 기존 도면 표기법으로 의사소통 어려운 경우 대안

    <디지털 목업, 이미지출처 : 시공단계를 고려한 BIM 활용에 관한 연구>
  4. 공정 시뮬레이션 : 공사 전 과정을 시뮬레이션 하여 공정계획 검증, 대안 수립
  5. 물량산출 : BIM모델에 입력된 대부분의 부재는 물량에 관한 정보 포함
  6. 물류관리 : RFID 인식패드 또는 Bar-Code를 표기하여 자재반입 및 설치여부 시각적 관리

<건축과 설비부재의 간섭 사례, 이미지출처 : 시공단계를 고려한 BIM 활용에 관한 연구>


문제점

  1. 설계단계
    1. 디자인 및 도면화 목적
    2. 시공단계 연계목적 없음
    3. 상대적으로 무거운 BIM 르로그램 사용기피
  2. 시공단계
    1. 시공계획, 가설계획, 공정관리, 물량산출, 자동화 장비사용이 목적
    2. 사용목적에 따른 다양한 소프트웨어 대비 하드웨어 용량 부족
    3. 단계별 분류체계 부재
  3. BIM 적용 프로세스 단계
    1. 설계단계 시공사 미 참여(설계·시공 분리)
    2. 자재 제작사 및 전문 시공사 미 참여
    3. 시공단계 간섭체크 및 전환 설계

 

해결방안(BIM 적용을 위한 요구사항)

  1. BIM 프로세스
    1. 시공 기술인력 설계단계 참여
    2. 단계별 협업이 아닌 동시 협업프로세스 개발
    3. 분야별 전문 시공사의 BIM모델 활용
    4. 유지관리 단계의 활용
  2. BIM 플랫폼
    1. 시공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 선정
    2. 통합모델 운용 가능한 하드웨어 선정
    3. BIM 데이터 관리용 서버 운영
    4. 견적 코드 연계 자재분류체계 정립
    5. BIM 모델의 부재와 공정 데이터의 액티비티 연계 방안 수립


연관문제

RFID

 

참고문헌(출처)

  • 시공단계를 고려한 BIM 활용에 관한 연구 / 김화성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