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3년 130회 4교시 2번 : 도장공사의 하자 유형(들뜸, 백화, 균열, 부풀어오름)에 대한 원인 및 방지대책을 쓰고, 도장작업 전·중·후 확인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0년 122회 4교시 1번 : 도장공사에서 발생하는 하자의 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9년 119회 2교시 2번 :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도료의 구성요소와 도장공사 결함의 종류별 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8년 115회 2교시 5번 : 도장공사에서 발생하는 결함의 종류와 원인 및 대책을 설명하시오.
- 2017년 111회 3교시 5번 : 콘크리트 바탕면 수성페인트 시공 시 표면처리 방법과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4년 104회 4교시 6번 : 도장공사에서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되는 하자유형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3년 100회 4교시 5번 : 모르타르(Mortar) 부위 수성페인트 도장작업시 바탕처리, 도장방법 및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2년 98회 2교시 4번 : 도장공사에서 발생하는 결함의 종류별 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9년 87회 3교시 3번 : 도장공사중 금속계 피도장재의 바탕처리방법을 기술하시오
- 2006년 80회 4교시 3번 : 도료의 구성요소와 도장시에 발생하는 하자와 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4년 73회 3교시 3번 : 도장공사의 재료별 바탕처리와 균열 및 박리원인을 들고 대책에 대해 기술하시오.
- 2002년 66회 3교시 2번 : 도장공사후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도막결함의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을 기술하시오.
개요
- 도장공사는 사용재료가 다양하여 재료의 특성, 부위, 횟수, 건조시간, 기온 및 습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거 하자가 발생하며,
- 주로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하여 시방서에 맞게 시공하여야 한다.
도장(칠)의 목적
- 건물보호
- 미적효과
- 성능부여
도장의 작업조건
- 적정한 온도 : 5℃ 미만 금지
- 풍속 : 옥외 작업시 40km/h 이상 금지
- 환기조건 : 청정한 공기의 지속적인 공급 필요
- 습도 : 상대습도85% 초과할때 금지
- 인화 가능성 : 휘발성 용제 사용할 경우 화재, 폭발 주의
바탕만들기(면처리)
- 공통사항
- 녹, 유해한 부착물(먼지, 기름, 모르타르 등) 및 낡은 구도막은 완전히 제거
- 면의결점(홈, 구멍, 갈라짐, 옹이 등)을 보수
- 배어나오기 또는 녹나오기 등에 의한 유해물(수분, 기름, 산, 알카리 등)의 작용 방지 처리
- 도장의 부착이 잘 되도록 연마
- 콘크리트면, 모르타르면
- 바탕재는 온도 20℃ 기준으로 약 28일 이상 충분히 건조(표면함수율 10% 미만)
- 알카리도는 PH9 이하 상태가 이상적
- ③ 균열, 구멍 등은 주위 물축임 후 석고퍼티로 땜질. 건조 후 연마지로 작업
- 철재면
- 바탕만들기는 가공장소에서 바탕재 조립 전에 실시
- 오염, 먼지 등은 닦아내고 용접 등의 부위는 와이어브러시, 내수연마지 등으로 제거
- 기름, 지방분 등의 부착물은 닦아낸 후 휘발유, 벤졸 등의 용제 또는 비눗물로 씻어 건조
- 붉은 녹은 와이어 브러쉬, 내수연마지(F60~F80)로 제거
- 녹떨기 후 화학처리 후 수분을 완전히 건조
- 아연도금면(아연염 제거)
- 비눗물로 제거하고 깨끗한 물로 세척
- 2~3% 염산으로 세정
- 인산염 피막처리
- 목재면
- 못은 쳐서 박고, 녹이 쓸 우려 있을 경우 징크퍼티 채움
- 먼지, 오염, 부착물은 제거·청소
- 대팻자국, 엇거스름, 찍힘 등은 연마지(F120~240) 닦아 제거
- 옹이 갓둘레는 인두로 가열하여 녹아나온 부위를 휘발유로 닦아 제거
- 벌레구멍, 흠 등에는 구멍 땜 퍼티를 써서 표면을 평탄하게 처리
하자의 유형 및 방지대책
연관문제
참고문헌(출처)
- 표준시방서 41 47 00 도장공사 / 국가건설기준센터
- 건축시공기술 / 대한건축학회
- 건축기술지침 / 대한건축학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