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4년 132회 1교시 3번 : 연돌효과(Stack Effect)의 원인과 개선방안
- 2018년 115회 2교시 3번 : 초고층 건축물의 연돌효과(Stack Effect)의 문제점과 대책을 설명하시오.
- 2014년 103회 3교시 2번 : 초고층 건물화재 시 연돌효과(Stack Effect)현상에 대하여 단계별(계획, 시공, 유지관리) 중점관리 사항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3년 99회 1교시 8번 : 연돌효과(Stack effect)
- 2007년 81회 4교시 2번 : 고층건물 연돌효과(Stack Effect)의 발생원인, 문제점 대책을 설명하시오.
- 2002년 68회 1교시 11번 : 연돌효과(Stack Effect)
개요
- 건물 내·외부 공기의 밀도 차이로 인한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
- 압력차로 인하여 건물내부로 들어온 공기의 흐름이 연돌(굴뚝)의 흐름과 유사하여 연돌효과라 한다.
연돌효과에 의한 기류의 주경로
- 유입부
- 출입구
- 하층부의 창호
- 상승부
- 계단실
- 승강기 승강로
- 배관(기계, 전기) 샤프트
- 슈트(우편물, 쓰레기, 세탁물 등의 용도)
- 유출부
- 상층부의 개구부
- 상층부의 창호
연돌효과에 따른 압력차
- 연돌효과로 인한 압력차는 내외부 온도차가 클수록 건물높이가 높을수록 커지며
- 내외부 온도차가 심한 겨울철 초고층 건물에서 연돌효과에 의한 문제점 발생이 많아짐
발생원인
- 온도 : 밀도차에 의한 부력 발생 원인
- 운영온도 : 냉난방 및 내부 발열에 의한 내·외부 기온 차이
- 화재온도 : 화재발생으로 인한 실내 온도상승
- 바람 : 압력분포에 따른 부력 발생 원인
- 고층일수록 외풍이 세므로 그에 따른 부압도 큼
- 저층부 보다 고층부의 부압이 더 크기 때문에 구동력으로 작용
- 결과적으로 실내 공기는 외풍 때문에 위로 이동
연돌효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건물 구조
- 환기구조 : 샤프트 개방 형식이나 창호 배치
- 열드래프트 : 외벽과 샤프트의 누설면적
- 단열구조 : 단열구조에 따른 내외부 온도차
- 공조기능 : 공기조화 시스템의 운전 양식에 따른 건물내 정압분포 차이
- 배치효과 : 환기 샤프트의 위치와 면적
- 승강기운행 : 피스톤 효과에 의한 교란 발생
문제점
- 출입문 개폐의 어려움 및 소음 발생
- 건물 외피를 통한 침기 및 누기로 인한 에너지 낭비
- 승강기 및 환기 · 배기설비 기능 상실
- 화재 발생시 연기의 확산으로 인한 피난의 어려움
- 강한 유입외기에 의한 불쾌감
대책
- 건축적인 방안
- 공기유동의 주경로인 유입부, 상승부, 유출부를 기밀하게 시공
- 방풍실 설치 및 창호면적 축소
- 계단실, 엘리베이터, 층간 샤프트 구획 기밀화
- 상층부 개구부 제거, 창호 축소(폐쇄)
- 기계적인 방안
- 공조시스템을 통한 실내 압력을 조절
- 설계(계획)적인 방안
- 연돌효과 고려한 개구부의 수나 위치, 크기 결정
- 계획전 건축물의 압력분포 예측 및 분석
참고문헌(출처)
- 초고층건물에서 연돌효과 문제점 개선에 관한 연구 / 김옥, 박진철, 이언구
- 초고층 건물에 나타나는 연돌효과 / 김진수
- 초고층 건물에서의 연돌효과 / 김광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