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열현상(spalling failure, explosive fracture)

 


기출문제

  • 2025년 135회 1교시 6번 : 고강도 콘크리트 폭렬현상
  • 2024년 132회 4교시 1번 :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 현상 중 폭렬에 미치는 영향인자와 폭렬 현상의 발생원인과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1년 124회 3교시 3번 : 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현상 발생원인과 방지대책 및 내화성능관리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7년 112회 2교시 4번 :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재 시 발생하는 폭렬(爆裂)현상 및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 2014년 103회 1교시 4번 : 폭렬방생 메커니즘
  • 2012년 97회 3교시 2번 :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열현상 발생원인과 제어대책 및 내화성능관리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9년 88회 3교시 6번 :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내화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9년 87회 1교시 7번 : 비(非)폭열성 콘크리트
  • 2007년 83회 4교시 2번 :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열 현상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7년 82회 3교시 6번 : 초고층 건축물에 사용되는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6년 78회 4교시 1번 :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기술하시오.
  • 2004년 74회 2교시 5번 :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재시 발생하는 폭열현상을 설명하고 그 방지대책을 기술하시오.


개요

  1.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는 표면이 박리되거나 비산해서 단면결손이 발생하는데 이런 현상을 폭열현상이라 한다.
  2. 폭열현상은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고열에 의해 팽창한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여 발생한다.
  3. 특히, 고성능 콘크리트 및 고강도 콘크리트는 조직이 치밀하여 보통 콘크리트 보다 폭열현상 쉽게 발생한다. 

 ※ 영문으로는 spalling failure 라고도 하고 KSC 14 20 33에서는 explosive fracture 라고도 표기합니다.

#spalling failure  #explosive fracture


콘크리트의 화재피해

  1. 화학적 피해
    1. 100℃ 이상 : 자유공극수 방출
    2. 100 ~ 200℃ : 물리적 흡착수 방출(수화물 수축 시작)
    3. 300℃ 이상 : 화학적으로 변질
    4. 400℃ 이상 : 화학적 결합수 방출
    5. 500℃ 이상 : 수산화칼슘이 열분해되어 50%까지 강도저하
  2. 구조적 피해
    1. 철근을 직접적인 고온에 노출시키며 유효단면을 결손, 구조물 붕괴의 원인


폭열현상 Mechanism

화재발생 → 수증기압 상승 → 수증기압이 인장강도 초과 → 표면 박리 → 단면결손 


폭열 원인요소

  1.  온도(고온)
    1. 화재의 강도가 클수록
    2. 화재의 지속시간이 길수록
  2. 공극의 크기
    1. 물시멘트비(W/C), 단위수량 낮은 경우
    2. 혼화재를 사용한 경우(특히 실리카 흄)
  3. 수분
    1. 콘크리트 함수율이 높은 경우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성능 기준

  1. 적용 부위 : 기둥, 보
  2. 적용 강도 : 50MPa 이상
  3. 내화 시간
    시설구분층수/높이(m)기둥,보
    일반,주거,산업시설12/50초과
    12/50이하
    4/20이하
    3시간
    2시간
    1시간
  4. 주철근의 온도 : 평균 538℃, 최고 649℃ 이하로 확보하도록 

 

내화성 증진방안

  1. 온도상승 저감 방법
    1. 내화 피복 : 단열 모르타르 바름, 내화뿜칠, 단열판 부착 등
    2. 내화 도료 : 화재시 불연성 기체의 방출과 동시에 체적이 50~100배 팽창
  2. 비산을 억제하는 방법
    1. Metal Lath 시공 : Metal Lath로 주철근 둘레에 시공
    2. 섬유 시트 바름 : 탄소섬유, 유리섬유 바름
  3. 내부 수증기압을 배출시키는 방법
    1. 섬유가 고온에서 녹아 콘크리트에 공극을 만들어 내부의 고압증기를 배출
    2. 유기 섬유 혼입
    3. 유기 섬유 분말 혼입

 

연관문제

고강도 콘크리트 - 고성능 콘크리트 - 섬유보강 콘크리트


기타참고자료

Hybrid Fiber / 내화용폭렬방지섬유 (스틸화이버코리아)

 

참고문헌

  •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렬 현상과 대책에 관한 연구 동향 / 권영진 외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NDSL)
  • 고성능 콘크리트 폭렬특성 및 대책 / 한천구, 한민철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NDSL)
  •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보의 내화성능 관리기준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334호)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