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16년 108회 4교시 5번 :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철근 선조립 공법의 특징과 시공상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8년 86회 1교시 2번 : 철근선조립공법
- 2007년 83회 2교시 5번 : 철근 콘크리트공사에서 철근 선조립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5년 77회 4교시 6번 : 철근의 선조립 공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2002년 67회 2교시 5번 : 다음 공법을 설명하고, 일반적인 공장 생산방식의 현황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1) 철근 선조립 공법
2) 타일 선부착 공법
개요
- 철근을 기둥, 보 등의 부위별로 공장 또는 현장에서 미리 조립해 두고 UNIT화된 철근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
공법의 분류
- 재료에 의한 분류
- 철근 선조립 공법 : 철근을 겹침이음, 가스압접이음, 기계적 이음을 이용
- 용접철망 선조립 공법 : 철근 및 철선의 격자형태의 전기저항 용접으로 생성된 용접철망을 이용
- 시공 순서에 따른 분류
- 철근 선조립 공법 : 거푸집공사 보다 철근 유니트 조립을 선행(조립정밀도, 공정면에서 유리)
- 철근 후조립 공법 : 거푸집 시공 후 철근 유니트 조립을 시행(대규모 공사에 유리)
시공 Flow
가공 → 선조립(UNIT화) → 운반 → 양중 → 현장조립
필요성
- 시공정밀도 향상
- 공기단축
- 관리의 용이성
- 작업의 단순화
- 구체공사의 시스템화
- 품질확보
특징
철근 선조립 | 용접철망 선조립 |
---|---|
1) 장점 | 1) 장점 |
위의 필요성 + ① 작업환경개선 및 안정성 확보 ② 자재 손실 감소 ③ 대구경 철근 사용가능 | ① 강재의 항복강도 증가로 재료비 절감 ② 균열분산능력 탁월 ③ 슬래브 전기배선, 배관공사 용이 |
2) 단점 | 2) 단점 |
① 부피증가로 운반비 상승 ② 접합공법 선정시 구조적인 응력 손상우려 | ① 철선의 신율이 작음 ② 철근에 비해 재료비 고가 ③ 녹의 진행이 일반 철근에 비해 빠름 |
개선사항(활성화 방안)
- 부재의 표준화 : 철근가공조립의 단순화, 거푸집의 전용, 작업의 표준화
- 주근의 굵은 철근 사용 : 주근의 본수를 줄여 이음 개소 감소
- 슬래브, 작은보, 벽배근의 합리화 : 기둥, 보 공사의 효율에 맞는 슬래브, 작은보, 벽체 배근의 합리화 필요
- 가공 및 운반 : 공장가공에 의한 정밀도 향상, 운반부피를 줄일 수 있는 방안 마련
- 양중설비계획 : 효율적 양중설비 계획
참고 문헌
- 선조립철근을 적용한 철근공사 합리화 방안 공법설명회 발표집(국토해양전자정보관 CODIL)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