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3년 131회 1교시 10번 : PEB(pre-engineered building system)
- 2022년 127회 1교시 8번 : PEB 시스템(Pre-Engineered Building System)
- 2016년 110회 1교시 9번 : 철골공사의 Tapered Beam
- 2016년 108회 4교시 6번 : 철골구조물 PEB(Pre-Engineering Building) System의 특징 및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4년 103회 3교시 1번 : PEB(Pre-Engineered Building)시스템의 국내 활용실태 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8년 85회 1교시 13번 : P.E.B(Pre-Engineering Building System)
- 2005년 76회 1교시 2번 : PEB(Prefabricated Engineered Building)
- 2005년 75회 1교시 9번 : Taper Steel Frame
- 2002년 66회 2교시 6번 : 철골 구조물 P.E.B(Pre-Engineered Beam) System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개요
- PEB(Pre-Engineered Building)이란 Tapered Beam 구조로 불리며, 휨모멘트 크기에 따라 부재형상을 최적화 한 변단면부재(Tapered Beam)를 사용한 철골 구조물을 말한다.
- 용접과 절단기술, Computer System의 도입과 더불어 골조 중량감소 등의 이유로 공장, 창고, 격납고 시설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징(장점)
- 경제성 : 부재형상 최적화로 재료절감 및 자중감소로 인한 기초공사 절감
- 공기단축 : 컴퓨터를 통한 설계 및 공장제작, 용접이 필요없는 볼트 조립방식으로 공기단축 가능
- 대공간 활용 : 최대 폭 120m까지 내부 기둥이 없는 구조설계가 가능
- 다양한 건물 형태 : 용도 및 환경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건물 선택 가능
일반철골과 PEB의 비교
구분 | 일반철골 | PEB System |
---|---|---|
구조계산 | 최대응력에 의해 부재가 선정되며 응력변화에 따라 부재의 단면 변경 곤란 | 응력의 크기에 따라 부재의 단면 변경 가능 |
건물의 폭 | 10~30m | 20~70m(최대 120m) |
중량 | 100% | 약 70% |
부재의 형상 | Roll-Beam | Tapered-Beam |
PEB 구조형식
- Rigid Frame(RF)
- 최대 90m까지 Clear Span 확보가능
- 사용자 필요와 요구에 따라 내부공간을 맘껏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특징
- 크레인 및 각종 부가하중에 대한 유연한 기능이 우수
- 공장, 체육관, 격납고, 창고등에 널리 활용
- Continuous Beam Frame(CB)
- 용도에 따라 내부 기둥 간격을 자유롭게 선택
- 산형 연속골조에 비해 건물의 누수나 결로가 없는 것이 장점
- 최대 240m까지 내부공간을 활용
- 물류센터, 대규모 건축물에 적합
- Lean-To Frame(LT)
- 기존 건물에 연결되는 부속 건물을 시공하는데 적합
- End Wall, Side Wall 어느 방향으로도 연결이 가능
- 대지 평면이 협소할 경우 토지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프레임
- Single Slope Frame(SS)
- 단조롭고 심플한 감각미를 살리는 건축공법
- 대지 평면이 협소할 경우 토지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프레임
참고문헌(출처)
- Pre-Engineered Building System에 대한 고찰 / 류천, 오세헌
- 건축기술지침 / 대한건축학회
- 동부PEB 홈페이지 http://www.peb.co.kr/
- 동성중공업 홈페이지 http://www.dshi.c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