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1년 125회 1교시 12번 : 메탈 터치(Metal Touch)
- 2019년 119회 1교시 8번 : Metal Touch
- 2010년 91회 1교시 12번 : 철골공사의 Metal Touch
- 2005년 77회 1교시 3번 : Metal Touch
- 2003년 70회 1교시 9번 : Metal Touch
개요
- 큰 축력을 받는 기둥이음부에서 이음면의 밀착을 좋게하여, 축력의 25%까지 이음면을 통해 직접전달하는 이음방식을 말한다.
- 기둥의 용접이음 및 볼트이음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 경제적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철골기둥 이음방법
- 용접방법
- 볼트이음방법
- 용접, 볼트병용 방법
- 메탈터치 활용방법
강구조 설계기준
- 이음부의 내력 ≥ 존재응력(부재에 실제로 작용하는 응력)
- 이음부의 내력 ≥ 부재의 허용내력의 50%
- 압축력과 모멘트의 25%는 이음면(접촉면)에 의해 응력 직접전달
- 이음면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 상·하 접합부 단부의 면을 적삭 마감하여 밀착시키는 경우 - Metal Touch 후 나머지 75%의 축력은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해 전달
특징
- 장점
- 기둥의 이음재료 및 연결재료 절약
- 용접이음 시 발생하는 강재의 변형, 잔류응력 발생 우려 없음
- 단점
- 기둥이음면 마무리면처리 까다로움
- 기둥설치와 보 정렬과정에서 메탈터치면 이격 가능
- 메탈터치 정밀도가 까다로와 완전용입용접보다 비경제적
메탈터치 이음 활성화 방안
- 응력전달체계에 대한 규명
- 마무리면 정밀도 허용치 검증
- 메탈터치 이음의 기준 개선
기둥의 정밀도
메탈터치 기준 비교
참고문헌(출처)
- KCS 표준시방서 14 31 05 강구조공사 일반사항 / 국가건설기준센터
- 메탈터치에 의한 철골기둥 이음의 응력전달과 기준개선에 관한연구 / 김석구
- 건축기술지침 / 대한건축학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