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기출문제

  • 2024년 132회 3교시 2번 :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별 특징 및 중점 품질관리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20년 122회 1교시 5번 : 현장타설말뚝공법의 공벽붕괴방지 방법
  • 2017년 111회 2교시 1번 : 현장타설 말뚝 시공 시 수직 정밀도 확보방안과 공벽붕괴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2년 96회 4교시 1번 : 대구경 콘크리트 현장말뚝 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하자발생유형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0년 92회 2교시 2번 : 초고층 건축물의 중·대구경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종류 및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개요

  1.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이란 현장에서 소정의 위치에 구멍을 뚫고 Con'c 또는 철근 Con'c를 타설해서 만드는 말뚝을 말한다.
  2. 구조물의 대형화로 인해 큰지지력이 요구되고, 건설공해(소음,진동)에 대처하기 위해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사용이 늘어가고 있다.

 

현장타설말뚝의 분류

  1. 관입공법 : 콤프레솔 파일, 프랭키 파일, 심플렉스 파일, 페데스탈 파일, 레이몬드 파일
  2. 굴착공법 : Benoto 공법, Earth drill(Calweld) 공법,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공법
  3. 치환말뚝공법 : CIP(Cast in place), PIP(Packed in place), MIP(Mixed in place)

 

Benoto(All Casing) 공법

  1. 정의
    1. 프랑스 Benoto사가 개발하여 Benoto공법이라 한다.
    2. 공벽붕괴 방지를 위해 Casing tube를 요동압입장치로 관입시키면서 동시에 Hammer grab로 내부를 굴착, 공 내에 철근을 세운 후 Tremie pipe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2. 특징
    1. 지름0.8~2.0m, 심도 20~50m까지 시공가능
    2. All Casing공법으로 공벽붕괴 위험 업음
    3. 비교적 저소음, 저진동 공법으로 도심지내 시공 가능
    4. 적용 지층이 넓음
    5. 굴착 중 지지층 확인이 용이
    6. 장비의 자중이 크고 요동반력이나 Casing tube 인발시 큰 반력을 필요
    7. 모래층이 두꺼운 경우 Casing 인발 곤란
    8. 굴착속도가 느림
  3. 시공순서
    Casing Tube 세우기 → Hammer Grab으로 굴착 → (동시에)Casing Tube 삽입 → 철근망 삽입 → Tremie pipe 설치 → 콘크리트 타설 → Casing Tube 인발 


Earth drill(Calweld)공법

  1. 정의
    1. 미국 Calweld사가 고안·개발한 공법으로 칼웰드(Calweld)공법이라고도 한다.
    2. 회전식 Drilling Bucket으로 필요한 깊이까지 굴착, 공내에 철근을 세운 후 Tremie pipe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2. 특징
    1. 지름0.6~2.0m, 심도 20~50m까지 시공가능
    2. 제자리 콘크리트 파일 중 진동·소음이 가장 작다
    3. 기계가 비교적 소형으로 굴착속도 빠름
    4. 좁은장소에서 작업이 가능하고 지하수위 없는 점성토에 적합
    5. 붕괴하기 쉬운 모래층, 자갈층에는 부적당
    6. Slime처리가 불확실하여 말뚝의 초기침하 우려
  3. 시공순서
    굴착 → Stand pipe 삽입 → 안정액 주입 → Slime 처리(1차) → 철근망 삽입 → Tremie pipe 설치 → Slime 처리(2차, 필요시) → 콘크리트 타설 → Stand pipe 인발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

  1. 정의
    1. 독일의 Salz Gitter 사에서 개발한 공법으로 현장 타설 말뚝공법 중 가장 대구경 이며 깊은심도 시공
    2. 굴착시 굴착구멍 내에 지하수위보다 2m 이상 높게 물을 채우고 0.02N/㎟의 정수압으로 공벽 유지
    3. Reverse Circulation Drill로 굴착하면서 드릴로드 끝에서 물을 빨아올려 굴착토사를 지상으로 올려 굴착하는 공법으로 역순환굴착공법 이라 한다.
  2. 특징
    1. 지름0.8~3.0m, 심도 60m 이상 시공가능
    2. 지하수량이 많은 지역에서도 작업 가능
    3. 깊은 심도 굴착가능
    4. 시공속도 빠르고 유지비가 비교적 경제적
    5. 다량의 물이 필요
    6. 호박돌, 자갈층 굴착곤란
    7. 배출 수량 관리가 적절치 못하면 공벽붕괴 원인
  3. 시공순서
    Stand pipe 삽입 → 순환장치 조립 → 굴착 → Slime 처리(1차) → 철근망 삽입 → Tremie pipe 설치 → Slime 처리(2차, 필요시) → 콘크리트 타설 → Stand pipe 인발 


굴착공법별 특성비교


시공시 문제점 및 대책


연관문제

프리팩트 콘크리트 말뚝 - 안정액 - 일수현상

 

참고문헌(출처)

  • 건축시공기술 핸드북 / 나균석, 박광호
  • 건축기술지침 / (주)대우건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