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10년 91회 2교시 5번 :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이 구조체의 품질, 안전, 공기 및 원가에 미치는 영향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6년 79회 3교시 3번 : 거푸집 공사로 인하여 발생하는 콘크리트하자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개요
- 마감공사의 바탕이 되는 거푸집공사의 품질상태는 후속공사의 공정·품질·안전·원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 거푸집공사로 인하여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하자는 마감공사 및 콘크리트 내구성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거푸집공사의 영향(중요성)
- 품질
- 콘크리트의 표면 상태에 따라 후속공정(마감)에 미치는 영향이 큼
- 얇은 마감재로 마감되는 부위는 거푸집의 집중관리가 필요
- 안전
- 거푸집공사는 대부분 인력작업으로 안전사고 발생률이 가장 높음
- 골조공사 중 안전사고의 주요 원인은 거푸집 시공불량에 의한 전도 및 추락
- 거푸집공사 시 콘크리트의 자중 · 측압 등 고정하중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이동 및 자재적재 등 작업하중에 더욱 주의 필요
- 거푸집공사의 인원은 골조공사 인력의 약 65%를 차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 개연성이 대단히 높으며, 사고 발생시 중대한 인명사고로 연결
- 공기
- 골조공사의 공사기간은 전체의 약 50% 차지
- 거푸집 공사기간은 골조공사 기간의 약 66%(2/3)을 차지 하므로 공정관리에 미치는 영향이 큼
- 거푸집 공사는 전체 공정관리의 양부를 결정하는 주공정(Critical Path)에 해당
- 골조공사는 조정기 → 가속기 → 완속기의 공정특성을 가진다
- 원가
- 거푸집공사비는 골조공사비의 30~40%, 전체 공사비의 약10%의 비중을 차지
- 거푸집공사의 품질관리상태에 따라 바탕작업 및 보완시공 등으로 공사비 상승 초래
거푸집의 역할
- 생콘크리트가 응결하기 전까지의 형상 및 부재치수 확보
- 생콘크리트 수화반응의 원활한 진행보조
-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밀도 확보
- 철근의 피복두께 확보로 구조물의 내구성 확보
- 콘크리트의 표면 마무리
거푸집 공사로 인한 콘크리트 하자
- 수직 · 수평 및 치수불량 : 먹메김 및 수평조절목 시공 불량
- 표면요철 및 단차 발생 : 핀체결 불량 및 과다한 다짐이 원인
- 재료분리 : 페이스트 유출 및 다짐 불량
- 표면박리 : 거푸집 청소 불량, 박리제 선정 부적절, 양생관리 부적절
- 콘크리트 파손 : 콘크리트 미경화 상태 해체, 무리한 해체
- 슬래브 균열 : 동바리 조기해체, 거푸집 인양 및 작업으로 충격 발생
- 골조의 배부름 : 과다한 다짐 또는 폼타이 파단
- 단면결손 : 수평조절목 매립, 거푸집 청소 불량, 전기/설비 각종 함 주변 콘크리트 미채움
- 기타 : 피복두께 미확보, 물곰보 발생, 박리제 오염 등
참고문헌(출처)
- 계획에서 시공까지 거푸집공사 길라잡이(국토해양전자정보관 CODIL)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