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2년 128회 2교시 3번 : 건축물의 철근콘크리트공사 중 익스펜션 죠인트(Expansion Joint)를 시공해야 할 주요 부위와 설치위치,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 2022년 126회 1교시 8번 : 콘크리트공사의 콜드 조인트(Cold Joint) 방지대책
- 2020년 122회 1교시 8번 : 철근콘크리트 공사 시 지연줄눈(Delay Joint)
- 2020년 120회 4교시 3번 :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발생하는 시공이음(Construction Joint)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6년 108회 1교시 7번 : 시공줄눈(construction Joint)의 위치 및 방법
- 2013년 101회 3교시 5번 : 콘크리트공사에서 콘크리트 이어붓기면의 이음위치와 효율적인 이어붓기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2년 96회 4교시 3번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줄눈의 종류 및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0년 91회 3교시 1번 :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Expansion Joint와 Control Joint(균열유도줄눈)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9년 89회 1교시 3번 : 콜드 조인트(Cold Joint)
- 2009년 88회 1교시 5번 : 시공이음(Construction Joint)과 팽창이음(Expansion Joint)
- 2009년 87회 1교시 6번 : 콘크리트 조인트(Joint) 종류
- 2008년 84회 1교시 13번 : 콘크리트 균열 유발줄눈의 유효 단면감소율
- 2007년 83회 1교시 7번 : 구조체 신축이음(Expansion Joint)
- 2006년 80회 1교시 6번 : Delay Joint (Shrinkage Strips : 지연조인트)
- 2005년 77회 1교시 12번 : 콘크리트 이어붓기면의 요구되는 성능과 위치
- 2005년 76회 1교시 1번 : 시공이음(Construction joint)
- 2003년 70회 1교시 3번 : Cold Joint
- 2003년 69회 3교시 3번 : 콘크리트 타설을 부득이 이어치기로 할 경우 위치 및 시공방법등 유의사항을 기술하시오.
- 2002년 68회 1교시 13번 : Control Joint
- 2002년 67회 1교시 1번 : Delayed Joint
- 2002년 67회 3교시 6번 : 고층 아파트 지하 주차장 익스펜션조인트(Expansion joint) 시공시의 유의사항
- 2002년 66회 1교시 13번 : Sliding Joint
- 2001년 63회 1교시 6번 : Delay Joint
개요
- 콘크리트 줄눈에는 시공상 필요에 의한 시공줄눈(Construction Joint)과 다양한 변위에 대응하기 위한 기능줄눈(Function Joint)이 있다.
- 기능성 줄눈은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및 수밀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시공되어야 한다.
콘크리트 줄눈(Joint)의 종류
- 시공이음
- 콜드조인트
- 기능성 줄눈(Function Joint, Movement Joint)
- 신축이음(Expansion Joint)
- 균열유도줄눈(Control Joint)
- 지연줄눈(Delay Joint)
시공이음(Construction Joint)
개요
- 시공줄눈은 경화된 Con'c에 새로 Con'c를 이어붓기 함으로 발생되는 줄눈으로
- 구조적으로 꼭 필요한 줄눈이라기 보다는 시공과정상 발생하는 줄눈이다.
설치 목적
- 거푸집 재료의 반복사용
- 콘크리트이 검사
- 대형구조물의 온도상승 방지
설치 위치
- 전단력이 적은 위치
- 부재의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 1회 타설량 및 시공에 무리가 없는 곳
- 이음길이와 면적이 최소가 되는 곳
- 아치는 아치축에 직각방향
- 캔틸레버 보는 시공이음 금지
시공시 유의사항
- 부득이 전단력이 큰 위치에 시공이음을 하는 경우 이음부위에 장부 또는 홈을 둔다.
-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위치, 방향, 시공방법을 준수한다.
- 염해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해양, 항만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되도록 이음을 두지 않는다.
- 시공이음을 두는 경우 구콘크리트 표면의 레이턴스, 품질이 나쁜 콘크리트, 달라 붙지 않은 골재는 제 거하여야 한다.
- 시공 이음부위가 될 콘크리트 면은 경화가 쇠솔 등으로 면을 거칠게 하여 충분히 습윤상태로 양생한다.
콜드조인트(Cold Joint)
개요
- Con'c 타설 중 경화가 시작 된 Con'c에 이어치기 하여 발생하는 Joint
- 콜드조인트는 내구성 저하 및 중성화의 원인이 되므로 Joint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콜드조인트로 인한 피해
- 내구성 저하
- 철근의 부식
- 중성화의 요인
- 수밀성 저하
- 누수의 원인
- 마감재의 균열
방지대책
- Con'c 운반 및 타설계획 철저
- 레미콘 배차계획 및 간격 철저 엄수
- 이어치기는 1시간 이내에 완료
- 여름철에는 응결지연제 계획
- 분말도 낮은 시멘트 사용
- 재진동 다짐(1시간 넘으면 구콘크리트에 100mm관입)
신축이음(Expansion Joint)
개요
- 신축이음은 온도변화, 건조수축, 기초의 침하등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
- 균열발생이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이음이다.
- 구조체를 완전히 분리시키므로 분리줄눈(isolation Joint)라고도 한다.
설치 목적
- 콘크리트의 팽창과 수축을 조절
- 부동침하가 예상될 경우
- 진동방지
설치 위치
- 건물의 길이가 긴 경우
- 지반 또는 기초가 다른 경우
- 서로 다른 구조가 연결되는 경우
- 건물이 증축될 경우
- 평면형상이 복잡할 경우
시공시 유의사항
- 양쪽의 구조물 혹은 부재가 구속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 필요에 따라 이음재, 지수판 등을 배치하여야 한다.
- 단차를 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장부나 홈을 두든가 전단 연결재(Dowel Ba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균열유도줄눈(Control Joint)
개요
- 균열줄눈 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결손 부위로 균열을 유도하는 줄눈이다.
- 수축줄눈(Contraction Joint) 또는 맹줄눈(Dummy Joint)라고도 한다.
설치 목적
- 균열유도줄눈 위치에서만 균열이 일어나도록 유도
설치 위치
- 단면의 변화로 균열이 예상되는 곳
- 개구부 주위
- 옥상의 보호콘크리트
시공시 유의사항
- 깊이는 단면의 1/4 이상 (유효단면 감소율 : 20~25%)
- 줄눈 설치 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24~36배
- 코킹은 끊어지지 않고 연속되게 설치
지연줄눈(Delay Joint)
개요
- 건물의 일정한 부위를 남겨놓고(수축대) Con'c 를 타설하고 초기수축 이후에 Con'c를 타설하는 부위
- 수축대는 좌우부분 타설 후 약 4~6주가 경과한 후에 타설하는 것을 원칙
- 수축대간의 거리는 약 60cm 내외로 설치
설치 목적
- 건조수축에 의한 Con'c 균열 최소화
설치 위치
- 수축대의 설치 위치는 1 SPAN의 중앙부
- 기초를 제외한 모든 부재에 적용
시공시 주의사항
- 줄눈의 경계면 처리는 시공줄눈과 같게 시공
- 수축대는 좌우부분 타설 후 약 4~6주가 경과한 후에 타설
- 겹침이음 길이는 직경의 45배 이상
- 수축대 좌우 스팬은 수축대 부분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 지지
참고문헌
- KCS 표준시방서 14 20 10 일반콘크리트 / 국가건설기준센터
-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줄눈 설치방법에 따른 균열제어 및 강성확보 효과 / 정신교 (국회도서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