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2년 128회 4교시 2번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블리딩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과 저감대책을 설명하시오.
- 2021년 124회 1교시 6번 : 블리딩(Bleeding) 현상
- 2015년 105회 3교시 2번 : 콘크리트공사에서 Bleeding 발생원인 및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9년 89회 1교시 4번 : 레이턴스(Laitance)
- 2008년 84회 4교시 6번 : Bleeding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개요
2) 블리딩 시 발생하는 균열
3) 균열 발생 시 현장조치 방법
4) 블리딩시 수분 증발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004년 73회 1교시 1번 : WATER GAIN 현상
- 2003년 70회 1교시 8번 : Bleeding
블리딩(Bleeding)
개요
-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 골재나 시멘트가 침강하여 혼합수의 일부가 유리되어 상승하는 현상
- 블리딩은 침하균열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철근 하단부의 공동을 발생시켜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저하시킨다.
블리딩의 문제점
-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강도 저하
- 침하균열 발생 <블리딩 현상>
- 수밀성 저하
- 상부 콘크리트의 다공질화
Water Gain
개요
-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 물이 상승하여 표면에 고이는 현상
- 블리딩(Bleeding) 현상에 의해 발생
Water Gain의 문제점
- 균열 발생의 원인
- 수밀성 저하
- 재료분리 발생
- 내구성 저하
레이턴스(Laitance)
개요
- 콘크리트 타설 후 블리딩 현상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물과 함께 떠오르는 미세한 물질
- 레이턴스는 이어치기 부분에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레이턴스의 문제점
- 이어치기 부분의 부착강도 저하
- 철근의 부식 및 중성화의 요인
- 내구성 저하
- 방수공사의 하자발생
원인(bleeding, water gain, laitance)
- 재료
- 분말도가 낮은 시멘트를 사용
- 유기불순물을 포함한 골재 사용(laintance)
- 입도가 큰 골재 사용
- 배합
- 단위수량이 큰 경우
- 물시멘트비(W/C) 큰 경우
- 슬럼프가 큰 경우
- 시공
- 부재의 단면치수가 큰 경우
- 1회 타설 높이가 큰 경우
- 운반 및 비빔시간이 긴 경우
- 과도한 다짐
대책(bleeding, water gain, laitance)
- 재료
- 단위 수량 감소시켜 반죽질기를 질게
- 유기불순물 허용한도 이내의 깨끗한 골재 사용
- 골재의 입도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
- 배합
- 단위 수량을 감소시켜 반죽질기를 질게
- 물시멘트비(W/C)를 작게
- AE제, 감수제 등 적합한 혼화재료 혼입
- 시공
- 1회 타설 높이가 큰 경우는 적절히 분할하여 타설
- 운반에서 부어넣기 까지 시간 짧게
- 적절한 진동다짐
☞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위 3가지 현상을 시공이음 및 침하균열, 소성수축균열과 연관시켜 답안을 작성하심이 좋을 듯 하네요
블리딩 시 발생하는 균열 균열 발생 시 현장조치 방법 블리딩시 수분 증발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레이턴스로 인한 문제 | 침하균열 + 소성수축균열 시공이음 부착불량 |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