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에서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는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과, 효율적인 공사, 민원발생 최소화를 위한 필수적인 문서입니다.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 작성 항목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 제84조, 건산법 제29조제1항 지침 제2조
- 공사용 도로
- 가설사무소, 작업장, 창고, 숙소, 식당
- 콘크리트 타워 및 리프트 설치
- 자재 야적장
- 공사용 전력, 용수, 전화
- 플랜트 및 크랏샤장
- 폐수방류시설 등의 공해방지시설(배수로, 침사조, 세륜장, 가설울타리 등 포함)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 검토 사항(건설사업관리기술인)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 제84조
- 규모 : 공사규모 및 현장여건 고려
- 위치
- 관리가 용이하도록 공사 중의 동선계획 고려
- 지하구조물의 시공위치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 선정
- 침수 : 우수가 침입 않도록 시공기면(F.L)보다 높게 설치하고, 홍수 시 피해 등을 고려
- 배수 : 물의 배수가 용이하고 주변 환경오염을 시키지 않도록 조치
- 공해 : 인접주민들에게 공해를 발생하는 등 민원이 없도록 조치
현장식당 선정계획서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 제84조-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에 건설현장식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아래 표는 Chat GPT가 알려주는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계획서 작성시 참조 하여 작성하면 좋을 듯 하여 올려봅니다.혹시 카페 회원님들과 공유할 만한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가 있다면 공유(게시글, 메일 등) 부탁드립니다.
가설시설물 설치계획서의 작성
🏷️Chat GPT
목차 | 세부내용 |
---|---|
1. 기본정보 | 1) 프로젝트 개요 : 공사명, 공사 위치, 발주처, 시공사 정보 2) 작성 목적 : 가설시설물 설치 및 관리에 대한 기본 방침과 목표 3) 관련 규정 및 법규 : 건축법, 산업안전보건법, 각종 지침 및 기준에 대한 준수사항 |
2. 현장개요 | 1) 현장 조건 : 지형, 지질, 주변 환경 분석 2) 현장 배치 계획 : 가설시설물 배치도(컨테이너, 자재 적치장, 화장실 등) 3) 작업 반경 : 설치 예정 위치 및 작업 반경 설정 |
3. 가설시설물의 개요 | 1) 시설물 종류 및 규격 : 상기 작성항목 참조 2) 자재 명세 : 자재 종류, 규격, 수량 3) 설치 기준 : 관련 법규 및 KS, ISO 등 표준 적용 |
4. 설치계획 | 1) 설치 방법 : 설치 순서와 공법 설명. 사용 장비(크레인, 지게차 등) 및 작업 인력 2) 작업 일정 : 세부 일정과 작업 순서, 주요 공정 마일스톤 3) 안전 조치 : 작업 전 점검, 작업 중 위험요소 관리 방안 |
5. 안전관리계획 | 1) 안전 점검 : 설치 전후 안전 점검 계획 2) 작업자 교육 : 설치 방법, 안전수칙, 비상대응 교육 3) 비상 대응 방안 : 사고 발생 시 대처 방안(응급처치, 연락체계) |
6. 유지관리계획 | 1) 정기 점검 주기 : 설치 후 정기적으로 점검할 항목 및 주기 2) 보수 계획 : 이상 발생 시 조치 방안 3) 철거 계획 : 사용 완료 후 철거 방법 및 처리 계획 |
7. 도면 및 부속자료 | 1) 설치 도면 : 가설시설물의 상세 도면(단면도, 평면도 등) 2) 시공 상세도 : 작업에 필요한 상세 시공도 및 기술 자료 3) 기타 참고 자료 : 설계 기준, 자재 인증서, 시방서 |
8. 기타 고려 사항 | 1) 환경 관리 방안 : 폐기물 처리, 소음 및 먼지 방지 대책 2) 인허가 사항 : 가설시설물 설치에 필요한 인허가 현황 3) 비용 분석 : 자재, 인력, 장비에 대한 비용 추정 |
관련근거(참조)
-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 제84조
- 건설산업기본법 제29조제1항에 따른 계획·관리 및 조정에 관한 지침 제2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