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 2021년 123회 2교시 1번 : 도심지 공사에 적합한 역타공법 중 BRD(Bracketed Supported R/C Downward)와 SPS(Strut as Permanent System) 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6년 110회 2교시 4번 : SPS(Strut as Permanent System) Up-Up 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11년 94회 3교시 1번 : 흙막이공사에서 CWS(Buried Wale Continuous Wall System)공법과 SPS(strut as Permanent System)공법을 비교 설명하시오.
- 2010년 91회 3교시 6번 : SPS(Strut as Permanent System)공법의 개요와 특징을 설명하고, Up-Up 공법의 시공순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7년 83회 3교시 6번 : 흙막이 공사에 적용되는 S.P.S(Strut as Permanent System) 공법을 설명하시오.
- 2006년 79회 4교시 3번 : 지하, 지상 동시공법(Up-Up 또는 Double Up 공법)의 시공 프로세스와 각 프로세스에서의 내용을 간략하게 기술하시오.
- 2004년 74회 3교시 2번 : SPS(Strut as a Permanent System)공법의 특성과 시공절차를 기술하시오.
개요
- SPS공법이란 건물구조체인 보를 기둥에 연결하고 이를 흙막이 지지용 Strut로 사용하는 공법을 말한다.
- Strut용 가시설의 설치 및 해체의 작업을 줄여 획기적으로 지하공사의 공정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특징
- 장점
- 가설공사 필요 없음
- 해체공사가 필요 없어 해체공사시 발생하는 응력 불균형 없음
- 넓은 작업공간 확보 가능
- 해체공정이 없어 지하공사, 지상공사 동시 병행 가능하여 공기단축
- 가설 Strut로 인해 발생하는 폐기물의 저감
- 현장 유지관리 용이
- 단점
- 대지가 넓을 경우 비용 증대
- 철골보의 단면이 증대될 수 있음
시공절차
- 흙막이 시공
흙막이 공법 중 CIP + H-Pile과 LW 그라우팅 공법, Diaphragm Wall 등을 공법에 적용 - 기둥천공 및 설치
- 기둥은 흙막이를 지지하는 Strut(철골보)가 연결되는 부분과 지하공사 완료 후 상층부 축력을 기초로 전달하는 기둥으로 역할
- 천공시 수직도(허용한도 1/300) 유지에 주의 요망
- 1층 바닥 굴토 및 띠장(Wall Girder)설치
- 터파기 레벨을 선정한 후 굴착
- 띠장에는 지하1층 타설을 위한 슬리브를 매립하고 콘크리트 타설
- 지상1층 철골설치 및 지상1층 슬래브 설치
- 철골보 설치 후 용접연결인 경우 용접부 검사
-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1층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 지하1층 바닥 굴토 및 철골보 설치
1층과 동일한 방법으로 매층마다 반복시공 - 기초 설치
최하부층까지 굴토한 후 기초 시공 - 내부옹벽 및 슬래브 설치
- 내부 옹벽의 철근은 띠장에 미리 설치된 앵커용 철근을 연결
- 콘크리트 타설은 띠장에 매립된 슬리브를 통하여 타설
- 외부옹벽과 병행하여 슬래브, 코아벽체 점진적 시공
시공절차 개념도
CWS(Buried Wale Continuous Wall System)공법과 SPS공법 비교
연관문제
흙막이 공법 - Top Down 공법 - Strut 공법
참고문헌(출처)
- 지하구조물을 이용한 흙막이용 스트러트 공법(신기술 249호) / 삼성중공업
- CWS공법(buried wale Continuous Wall System)의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정배 외 5명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