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링테스트(boring test)

기출문제

  • 2010년 92회 4교시 2번 : 건축물 기초 선정을 위한 보오링 테스트(boring test)에서 보오링 간격 및 깊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09년 88회 3교시 2번 : 토질 지반조사의 지하탐사법 및 보링(Boring)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개요

  1. 지반조사란 건축물의 토공사 및 기초공사의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위해 실시하는 조사
  2. 보링이란 지중을 강관으로 천공 후 토사를 채취하여 지층을 판단하는 토질조사법을 말한다.

 

지반조사 단계

사전조사 → 예비조사 → 본조사 → 추가조사

 

지하탐사법

  1. 짚어보기
    ① Φ9mm 철봉(탐사간)을 땅에 박아 저항 정도 파악
    ② 수 개소를 시행하여 지층의 깊이를 추정
    ③ 상부층이 무르고 굳은층이 앝을 경우 적용
  2. 터파보기
    ① 소규모 공사에 공사에 적용, 대지의 일부분을 시험파기 하여 지층 상태를 보고 내력 추정
    ② 수직으로 깊이 2m 내외의 구덩이 파기
    ③ 굴착규모 지름 60~90cm, 깊이 1.5~3.0m, 간격 5~10m 정도
  3. 물리적 탐사법
    ① 광범위한 대지의 지하구성 층의 개략적 탐사
    ② 전기저항식, 탄성파식, 강제진동식 - 주로 전기저항식 사용


보링(Boring)

  1. 개요
    ① 보링이란 지중을 강관으로 천공 후 토사를 채취하여 지층을 판단하는 토질조사법을 말한다.
    ② 지중의 토질분포, 지층 판단, 토질시험을 위한 시료채취를 목적으로 한다. 
  2. 보링의 목적
    ① 토질의 분포파악
    ② 토층의 구성파악
    ③ 토질 주상도 작성
    ④ 지하수위 조사
    ⑤ 토질시험을 위한 시료채취
    ⑥ 표준관입시험 등 다른 조사법과 병용 
  3. 보링의 종류
    ① 오거보링(Auger boring) : 깊이 10m이내의 점토층에 적합
    ② 수세식보링(Wash boring) : 깊이 30m이내의 연질층에 사용하며, 내관끝에 충격을 주며 물을 뿜어 파진 흙을 배출하여 토질판별
    ③ 회전식보링(Rotary boring) : 비트를 회전시켜 천공, 비교적 자연상태 그대로 채취가능
    ④ 충격식보링(PerCussion boring) : 경질층 깊이 파는데 이용, 비트의 상하 충격으로 토사와 암석을 파쇄

 

보링 깊이

  1. 보통지층 분포지역
    ① 기초 계획면 또는 깊은 기초의 하단에서 하부1.5B(B:기초폭) 까지
    ② 전면기초의 경우 아반층 하부 3m 까지
  2. 연약층 분포지역
    ① 지지층 하부 1.5B 까지


보링 간격

대상공사시추 간격 배치 기준
광범위한 단지조성- 예비조사 : 인접한 4개소의 Boring Hole을 잇는 면적이 현장 전체 면적의 10% 정도가 되도록 배치
- 본조사 : 예비조사 결과 유효한 토층 단면도가 되도록 추가배치




연약층   분포지역- 건축물 예상 위치에서 15~50m 간격
- 건축물 위치 확정 후 중간 지점에서 추가 시추
간격이 좁은 독립기초의 대규모 구조물- 각 방향으로 15m 간격으로 기초외벽, 기계실, Elevator실 등
- 효과적인 토층 단면이 될 수 있도록 배치하되 최소 3개소 이상
큰 면적에 하중이 적은 구조물- 최소 네 모퉁이에 시추하고 토층 단면도 작성에 필요한 다수의 시추공을 내부 기초 위치에 추가
면적 250 ~ 1000㎡인 독립 강성기초- 주변을 따라 최소 3개소의 Boring을 실시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중간에 시추공을 추가
면적 250㎡ 이하의 독립 강성기초- 초소 대각의 모퉁이에 2개소, 중아에 1개소의 시추를 실시한 후 그 결과에 따라 나머지 모퉁이에 시추공을 추가

 

연관문제

지반조사의 목적과 방법 - 표준관입시험

 

참고문헌(출처)

  • 건축시공기술 / 대한건축학회
  • 건축시공학 / 강병두 저
  • 건축기술지침 / (주)대우건설


댓글 쓰기